개청 1년 맞은 우주청 ‘절반의 성공’

입력 2025-05-23 00:23

한국 우주 개발의 컨트롤타워와 민간 우주산업 육성 임무를 안고 지난해 5월 27일 출범한 우주항공청이 1주년을 맞았다. 첫 1년 동안 우주청은 차세대발사체 개발 방식 변경으로 사업 지연 우려가 제기되고 민간 업체 육성 계획이 지지부진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윤영빈(사진) 우주항공청장은 우주산업을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만들기 위해서 현재 1조원 수준의 예산을 배 이상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청장은 지난 21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주청이 인력과 예산을 확보하며 빠르게 자리를 잡고 있다 자평했다. 인력은 출범 당시 110명에서 281명으로 늘어났으며 예산은 지난해 대비 27% 증액됐다.

우주청의 핵심 사업인 차세대발사체·위성항법 시스템 개발이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월 2030년 개발을 목표로 하는 차세대발사체 모델을 일회성 발사체에서 경제성이 우수한 재사용 발사체로 변경하기로 의결했으나, 지난달 빠른 계획 변경을 위해 신청한 특정평가 방식이 무산되며 차질이 생겼다. 이달 2일 사업 적정성 재검토를 신청한 상태지만 전체 계획이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윤 청장은 2032년 달 착륙선을 수송할 차세대발사체 개발과 2030년대 중반 완전 재사용발사체 개발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2030년대 중반까지 저궤도 수송 비용을 ㎏당 1000달러(140만원) 이하로 절감하겠다는 목표는 ㎏당 2500달러(340만원) 이하로 후퇴했다.

윤 청장이 취임 당시부터 강조해온 뉴스페이스(민간 주도 우주산업) 시대로의 전환 역시 뚜렸한 성과가 나오고 있지 않다. 우주 강국들이 앞서나가고 있는 분야를 추격하고 민간 중심 다운스트림(위성·발사체를 활용한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려면 예산과 정원의 추가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이 윤 청장의 설명이다. 현재 우주청 예산(9649억원)은 미국은 물론 중국(22조원), 러시아(5조원), 일본(4조원)과도 격차가 크다.

윤 청장은 이날 화성 탐사 가능성을 모색하는 전담 조직(TF)을 우주청 내 설치했다고 밝히며 대형 프로젝트에 의욕을 보였다. 그는 “미국 우주항공국(NASA)이 전체 예산은 감축하면서도 화성 탐사·개척 사업에는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독자 탐사 계획 외에도 한국이 국제협력을 통해 화성에 진출할 기회가 커지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선행 과제인 달 탐사를 통해 자체 역량을 키우면서 조선·반도체 등 한국이 제공할 수 있는 특화 기술력을 발굴해 협력 사업 참여를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사천=윤준식 기자 semipr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