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12년간 미국이 최대 448척의 선박을 발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 조선업계가 상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해군 군함, 차세대 선박 등 미국 신조(新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선종별 민관 협력 전략을 짜야 한다는 조언이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9일 류민철 한국해양대 교수에게 의뢰해 발간한 ‘미국 조선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에서의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미국이 오는 2037년까지 최소 403척에서 최대 448척에 이르는 상선, LNG 운반선, 해군 군함 등을 발주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미국의 ‘조선업 부활’ 관련 공식 계획을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전략상선대(평시 상업적으로 활용하다가 전시 병참 지원에 동원되는 선박)는 100척 이상, LNG 운반선은 42∼65척, 액화이산화탄소(LCO₂) 운반선은 9척, 쇄빙선은 10척 이내 수준으로 발주될 전망이다. 군수용 선박은 전투함 129척, 지원함 46척, 국방예비함대(NDRF) 67척의 발주가 예상된다.
미국은 2047년까지 LNG 수출 화물의 15%를 미국에서 건조한 선박으로 운송할 방침이다. 하지만 미국의 LNG 수출 증가로 미국 내 건조만으로 관련 수요를 충당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보고서는 이를 고려해 국내 조선 기업들이 중장기적으로는 현지화 전략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 국적 전략상선대는 중형급 선박이 대부분이므로 국내 중형 조선업계의 수주 및 사업 확대를 위한 민관 협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미 해군의 군함 유지·보수(MRO) 및 신조와 관련해서는 당장 한국 기업의 수주가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전투함은 첨단 무기체계와 연동되는 군사 기밀 영역인 만큼 보안 요건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MRO 분야에서 선체 보수, 부품 교체 등 단순 정비로 신뢰를 확보한 뒤 점차 성능 개선·개조 사업으로 수주를 확대하고, 장기적으로 무기체계 정비까지 진출하는 단계별 이행안을 제시했다. 군함 신조 분야에서도 수송함, 지원함, 상륙함 등 비전투함을 먼저 공략하고 전투함은 중장기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차세대 선박 관련해서는 신기술의 연구 및 사업화를 위해 한미 공동기금 조성을 언급했다.
류 교수는 “경제안보와 군사안보에 대한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 및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며 “인력 양성, 중소조선소에 대한 선수금환급보증(RG) 확대, 조선업의 전후방 산업 및 해군력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민혁 기자 ok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