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계 미국인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대만의 인공지능(AI) 생태계 강화를 위한 계획을 내놨다. 엔비디아 미국 본사에 버금가는 대만 본부를 설립하고, 대만 정부와 대표 정보기술(IT) 기업들과 협력해 거대 AI 슈퍼컴퓨터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황 CEO는 19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아시아 IT 전시회 ‘컴퓨텍스 2025’에서 “타이페이 베이터우에 새로운 사옥 ‘엔비디아 콘스털레이션(constellation·별자리)’를 짓겠다”며 “대만 내 파트너십과 엔지니어의 성장세가 기존 지사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신사옥 설립 시점에 대해 “가능한 빨리 시작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대만 신사옥에선 엔비디아 주력 사업인 AI와 로봇, 양자 컴퓨팅의 연구 개발이 이뤄지고, 기술 생태계의 본거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황 CEO는 “대만이 AI, 로보틱스 등 차세대 기술 발전의 중심지가 될 것이라는 건 당연한 이치”라고 말했다.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 TSMC, 애플 아이폰 제조업체 폭스콘 등을 보유한 대만은 아시아 AI 허브 국가로 떠오르고 있다. 황 CEO와 미국 반도체 기업 AMD의 리사 수 CEO는 모두 대만 출신이다.
엔비디아는 정부와 폭스콘, TSMC와 함께 대만에 첫 거대 AI 슈퍼컴퓨터도 구축하고 있다. 황 CEO는 “대만 내 AI 인프라와 생태계를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슈퍼컴퓨터 시설에는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블랙웰’이 1만개가량 들어가고, 폭스콘 자회사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담당한다. 대만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을 제공한다. TSMC는 슈퍼컴퓨터 인프라 관련 연구 개발에 참여한다. 그는 “현지에 세계적 수준의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날 황 CEO는 신제품 출시 계획도 밝혔다. 엔비디아의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DGX 스파크’는 오는 7월, ‘DGX 스테이션’은 연말에 출시될 예정이다. DGX 스파크는 최대 1페타플롭(1초당 1000조번 연산 처리), 스테이션은 최대 20페타플롭의 컴퓨팅 성능을 갖췄다. 그는 “크리스마스에는 누구나 AI 슈퍼컴퓨터를 하나씩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러 개의 GPU를 연결해 메모리 용량을 극대화하는 엔비디아의 ‘NV링크’ 기술도 소개됐다. 이 회사의 최신 AI 칩 ‘그레이스 블랙웰’을 업그레이드한 버전도 공개됐다. 황 CEO는 “데이터센터 등 AI 인프라 시장 규모는 수조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