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토론회에 모인 대선 후보들… “약자 동행 전국화하자”

입력 2025-05-20 00:12
개혁신당 이준석(왼쪽부터) 대선후보와 오세훈 서울시장,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19일 서울시청에서 개최된 ‘약자와 동행하는 서울 토론회’에 참석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초청받았으나 불참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19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참석한 ‘약자와 동행하는 서울’ 토론회에서 “이제는 경제성장 ‘수치’나 ‘순위’보다는 ‘가치’가 의제가 돼야 한다고 믿는다”고 밝혔다. 이어 “약자와의 동행을 전국화할 수 있다면 양극화 정책의 변혁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선 후보들 앞에서 서울시정의 핵심 철학인 약자와의 동행을 전국화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오 시장은 이날 서울시청에서 개최된 토론회에서 “정책적으로 (양극화) 문제를 풀기 위해서 진정성을 담아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돌아보면 (중앙 정치에서) 논의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후보, 이 후보, 디딤돌소득·서울런 수혜자 등이 토론회에 참석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초청받았으나 불참했다.

디딤돌소득은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 가구에 기준소득과 가계소득 간 차액의 절반을 보전해 주는 제도다.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이 지원하는 ‘하후상박’형이다. 시는 2076가구에 시범사업으로 디딤돌소득을 지급하고 있다. 서울런은 6∼24세 저소득층 학생에게 인터넷 강의 등을 무료로 제공하는 정책이다. 디딤돌소득·서울런은 약자와의 동행을 대표하는 핵심 사업이다.

오 시장은 약자와의 동행을 통해 ‘빈곤층이 중산층이 될 가능성이 높은 나라’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그는 “디딤돌소득은 탈수급률이 8.6%, 100명 중 8~9명이 탈수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초수급자 제도에서는 탈수급률이 0.2%, 1000명 중에 2명”이라고 지적했다. 서울런에 대해선 “교육을 통해 중산층으로 편입할 수 있을 것이냐를 놓고 정책적인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선 디딤돌소득과 서울런의 지원을 받은 시민들의 평가도 나왔다. A씨는 “몸이 아픈 자녀가 있어 취업할 수 없었다”며 “3년간 디딤돌소득을 받아 대출금도 갚고 목돈이 필요할 때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B씨는 “검정고시로 졸업해 정보를 구하기 어려웠다”며 “서울런으로 대학 진학이라는 목표를 이뤘다”고 밝혔다.

대선 후보들은 약자와의 동행을 전국화하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공언했다. 김 후보는 “서울이 성공시킨 디딤돌소득과 서울런을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어려운 지방에 확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디딤돌소득과 서울런은) ‘현금으로 줄게’라는 간편한 유혹을 떨쳐 버리고 세밀하게 재정 상황을 살핀 모델”이라며 “더 넓은 범위에서 시행되도록 돕겠다”고 약속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