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 연령 낮을수록 궤양성 대장염 위험 커진다

입력 2025-05-20 00:09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 등의 영향으로 젊은 연령대를 중심으로 ‘염증성 장질환’이 급격히 늘고 있다. 염증성 장질환은 장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고 설사와 혈변, 피로, 체중 감소 등을 지속적으로 겪는 난치병이다. 대표적으로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있다. 이 중 궤양성 대장염은 주로 대장 점막에 염증이 생기며 전체 염증성 장질환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그런데 청소년기 등 흡연 시작 연령이 낮을수록 이런 궤양성 대장염 발병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윤혁·전유경 교수팀은 낮은 흡연 시작 연령이 궤양성 대장염의 주요 위험 요인임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2009~2012년 한국인 건강검진 수검 자료를 토대로 전국 650만명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20세 이전에 담배를 피우기 시작한 사람들은 비흡연자보다 궤양성 대장염 발병률이 약 배 높았다. 20~24세에 흡연 시작 시 1.73배, 25~29세는 1.68배 등 흡연을 시작한 연령이 낮을수록 궤양성 대장염 발병 위험이 증가했다. 크론병의 경우 흡연 시작 연령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청소년기 흡연이 장기적으로 궤양성 대장염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최초로 밝혀낸 것이다. 향후 흡연 예방 및 금연 정책 수립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유경 교수는 19일 “염증성 장질환은 유전·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난치성 질환으로, 식습관도 중요하지만 흡연 역시 중요한 원인”이라며 “흡연 시작 연령이 낮을수록 궤양성 대장염 발병 위험이 커진다는 점이 밝혀진 만큼, 청소년기 흡연 예방을 활성화하고 염증성 장질환 고위험군에 대한 조기 스크리닝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연세 의학 저널(Yonsei Medical Journal)’ 최신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