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삼남 김동선 부사장이 이끄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8695억원을 들여 급식업계 2위 아워홈을 인수했다. 아워홈 오너 간 경영권 갈등과 해외 기업결합 심사 지연 등 여러 난관을 거쳐 약 7개월 만에 거래가 마무리됐다. 한화는 이번 인수를 통해 푸드테크 기반을 강화하고 글로벌 식품 시장의 지각변동을 이끌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한화H&R)는 아워홈 지분 인수를 위한 거래 대금 지급을 완료하고 계약을 종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한화가 확보한 아워홈 지분은 전체의 58.62%다. 주식 취득에 투입된 금액은 총 8695억원이다. 아워홈은 한화그룹의 정식 계열사로 편입됐다.
이번 인수는 김동선 한화H&R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이 주도했다. 지난해 10월부터 현장 실사 등을 거쳐 지난 2월 특수목적법인 ‘우리집에프앤비㈜’를 설립했다. 이어 지난달 국내외 기업결합 심사를 모두 통과하며 인수를 최종 마무리했다.
이번 거래의 최대 변수는 아워홈 오너가 갈등이었다. 매각을 반대했던 구지은 전 부회장의 법적 대응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실현되지는 않았다. 아워홈 지분 20.6%를 보유한 구 전 부회장은 매각에 반대하며 거래 지연 가능성을 높였지만, 주식처분금지 가처분 신청이나 우선매수권 행사 등 법적 조치는 끝내 하지 않았다. 인수 자금 조달을 위한 투자자 확보에 실패한 점이 후퇴의 배경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아워홈 인수는 한화의 급식사업 복귀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한화H&R은 2020년 식자재 유통·단체급식 부문(현 푸디스트)을 매각하며 시장에서 철수했었다. 30년간 쌓은 급식 운영 경험과 한화푸드테크를 통한 외식·연회 등 식음 사업 노하우도 경쟁력으로 꼽힌다.
아워홈은 지난해 매출 2조2440억원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첫 ‘2조 클럽’에 진입했다. 전국 물류망과 자체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단체급식 외에도 식자재 유통 부문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있다. 향후 한화H&R의 호텔·리조트 식음 업장에 아워홈의 유통망이 결합하면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성 확대가 기대된다.
김 부사장은 그간 외식·식음료 사업을 직접 이끌며 활발한 인수·합병(M&A)을 추진해왔다. 미국 수제버거 ‘파이브가이즈’ 도입을 시작으로 미국 로봇 피자 브랜드 ‘스텔라피자’, 한화솔루션 자회사 ‘한화비앤비’, 음료제조업체 ‘퓨어플러스’까지 식음료 분야에서만 네 건의 인수를 주도했다. 아워홈 인수도 호텔·레저 중심인 한화H&R에 외식 기술력을 더하는 전략의 연장선이다. 푸드테크 기반의 주방 자동화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김 부사장은 “푸드테크를 통해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식품으로 사회에 기여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화호텔 관계자는 “급식과 식자재 유통에 강점을 지닌 아워홈과 함께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식품 산업의 흐름을 선도할 것”이라며 “한 식구가 된 만큼 계열사 간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사업 기반을 넓혀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다연 기자 id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