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개발’ 알래스카 주정부… 6·3 대선일 ‘에너지 회의’ 초청

입력 2025-05-15 18:47
지난달 18일 오전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열린 암참 에너지 혁신 포럼에서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가 영상으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이 한국 통상 고위 당국자를 다음 달 초 알래스카로 초청키로 했다. 기존의 구상대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참여를 본격 압박하려는 행보다. 다만 공교롭게도 초청 시기가 국내 대통령 선거와 겹치는 한국은 이를 이유로 고위 당국자 초청을 거절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미 알래스카 주정부가 6월 3~5일(현지시간) 앵커리지에서 열리는 ‘제4회 알래스카 지속가능 에너지회의’에 맞춰 한국 등의 고위급 통상 당국자를 초청했다고 15일 밝혔다. 해당 회의는 알래스카의 석유·LNG·광물자원 개발과 재생에너지·원전 등 최신 에너지 기술을 논의하는 행사다. 알래스카 주정부는 행사 개막 전날인 2일까지 한국 측의 현지행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외신이 보도한 미국 측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압박 구상이 현실화한 셈이다. 뉴욕타임스는 지난달 24일 미국이 알래스카 현지에서 고위급 회담을 개최해 한국·일본을 초청하고 프로젝트 투자의향서(LOI) 서명을 밀어붙이려 한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이후 프로젝트 초기 단계의 경제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일과 대만 등에 개발 단계부터 프로젝트에 투자할 것을 요구해 왔다.

총 사업비만 약 440억 달러(약 61조5000억원)에 달하는 해당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북부 유전에서 채굴한 천연가스를 남쪽의 액화설비로 이송하고, 이를 다시 액화 처리해 아시아 등지로 수출한다는 구상에 기초하고 있다. 사업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알래스카 내륙을 가로지르는 1300㎞ 길이의 수송관과 액화 플랜트, 가스 정제시설 등 막대한 인프라 설치가 필요하다.

미국과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인 한국은 협상의 주요 카드 중 하나로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 최근 한국가스공사는 알래스카 주정부와 실무단을 구성해 상견례 성격의 첫 화상회의를 열었다. 현지 실사단 파견도 조율 중인 상태다. 다만 정부는 알래스카 주정부의 이번 초청에 응할지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프로젝트 자체에 대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한 데다 알래스카 측의 초청일이 대선과 겹치기 때문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초청은) 기존에 예고된 행보의 연장선상으로 보고 있다”면서 “상황이 특수한 만큼 아직 결론은 내리지 못했다”고 말했다.

세종=이의재 기자 sentin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