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정책 대응 총력전 나선 경제단체들

입력 2025-05-15 18:46

경제단체들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 대응 차원에서 전방위 대미 아웃리치(대외 협력)와 로비 활동에 나섰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출범 후 처음으로 대미 로비를 진행했다.

15일 미국 내 로비 정보를 제공하는 오픈시크릿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주요 경제단체가 대미 로비에 사용한 금액은 약 1억3000만원으로 집계됐다. 한국무역협회가 6만4200달러(9089만원), 한경협이 3만 달러(4247만원)를 사용했다. 미국에서 로비는 합법화돼 있으며 정관계 인사와의 미팅, 정보 수집 등의 과정이 포함된다. 현지 로비 업체를 고용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특히 한경협의 대미 로비는 2023년 8월 출범 이후 처음이다. 한경협은 지난해부터 검토를 이어오다 올해 초부터 로비 업체를 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신인 전국경제인연합회 시절에도 대미 로비는 2000년대 후반 한 차례 외엔 없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경협은 무역 정책과 관련해 미 상무부, 에너지부, 재무부, 대통령 집무실, 무역대표부(USTR)에 로비를 진행했다. 무협도 상무부와 USTR에 로비 자금을 사용했다.

대미 아웃리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무협은 이달 12~15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 경제협력사절단을 파견해 미국 최대 투자유치 행사인 ‘셀렉트 USA’에 참석하고 트레버 켈로그 미 상무부 차관 대행과 면담했다고 이날 밝혔다. 윤진식 회장을 단장으로 한 사절단에는 바이오, 반도체 장비 등 다양한 분야의 미국 진출 기업 7개사가 참여했다. 앞서 한경협도 지난 2월부터 2개월 동안 정철 한국경제연구원장을 워싱턴에 파견했다.

최근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커지며 대미 협력 필요성이 부각됐다. 무협에 따르면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해 수출 기업 4곳 중 3곳이 계약 취소, 관세 전가 등 직접적인 피해를 봤다. 재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개별적 네트워크를 활용했지만 대미 관계의 중요도가 올라간 만큼 아웃리치와 함께 체계적인 로비 활동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커졌다”고 말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