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가 12·12 군사반란에 참여했고 5·18 광주민주화운동 진압을 주도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을 상임고문으로 위촉했다가 몇 시간 만에 인선을 취소했다. 국힘 선대위 측은 “원로들로부터 추천받은 명단을 취합해 정리하는 과정에서 검토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고 밝혔으나 그런 식의 변명으로 넘어갈 일이 아니다. 당 선대위에 최소한의 검증 시스템조차 없다는 것을 자인한 꼴이다.
국힘 선대위는 그제 오후 6시40분쯤 정 전 장관 등을 포함한 상임고문 14명의 인선을 발표했다. 정 전 장관은 신군부 ‘핵심 5인’ 중 유일한 생존자로, 12·12 군사반란에 가담하고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특전사령관으로 전남도청을 지키던 시민군을 무력 진압한 혐의 등으로 1997년 징역 7년을 확정받았다. 선대위는 그의 이력이 논란이 되자 발표 5시간 만인 당일 밤 11시38분쯤 상임고문 위촉 취소를 공지했다.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한민수 대변인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45주년을 목전에 두고 광주학살 책임자를 (국힘) 선대위에 상임고문으로 영입하다니 김문수 후보는 제정신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대변인은 “윤석열 내란세력도 모자라 전두환 반란군까지 끌어안아 내란세력 총사령부를 만들겠다는 것 아닌가”라며 “윤석열의 쿠데타 사랑도 끔찍한데 국민들께서 김문수의 쿠데타 사랑까지 마주해야 하는가”라고 성토했다. 조승래 수석대변인도 “국민을 통합하라고 했더니 친윤 세력과 5공 세력을 통합하는 것인가”라며 “김 후보와 국민의힘의 정체성이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국힘 김 후보는 어제 긴급 기자회견에서 “진심으로 정중하게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거듭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사과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에 이은 탄핵으로 치러지는 이번 대선의 선대위에 군사반란 가담자를 상임고문으로 위촉한 일은 사과의 진정성을 회의하게 만든다. 국힘은 비상계엄에 대해 철저히 반성하고 있는 것인지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