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이 5조3000억원 증가해 전월의 7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주택 거래가 늘었고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빚투’(빌려서 투자) 수요가 늘어나서다. 주택 거래가 2~3개월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에 반영되고 금리 인하 기대감도 있어 가계부채 증가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게 금융 당국의 진단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14일 발표한 ‘2025년 4월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5조3000억원 증가했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이 은행권을 중심으로 4조8000억원 늘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5000억원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이 4조8000억원 늘며 전월(1조7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3개월 연속 증가세다.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150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주담대 증가 폭(7000억원→1조9000억원)이 가장 가팔랐고 정책성 대출(1조8000억원→1조9000억원)도 소폭 늘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2~3월 늘어난 주택 거래 영향이 본격 반영됐다”며 “1분기 상여금 유입과 분기 말 매·상각 등 계절 요인이 소멸되며 전월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금융 당국은 “연간 가계대출 관리목표 등을 고려하면 현재까지는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금리 인하 기대감과 5월 가정의 달 자금 수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영향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광수 기자 g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