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김건희 여사가 검찰에 14일 소환 요구에 응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여사 측이 검찰에 낸 의견서엔 ‘검찰 조사가 대선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는 취지의 내용이 포함됐다.
김 여사 측 변호인은 13일 검찰에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지난 9일 김 여사 측에 ‘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14일 검찰청사로 나와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받으라’는 내용의 출석 요구서를 보냈다.
김 여사 측은 검찰에 ‘특정 정당의 공천개입 의혹에 관한 조사가 강행될 경우 추측성 보도가 양산될 우려가 있어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을 불출석 이유로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또 6·3 대선을 앞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선거법 위반 혐의 파기환송심을 비롯한 관련 재판이 모두 연기된 점, 문재인 전 대통령 뇌물 혐의를 수사한 검찰이 문 전 대통령에 대한 대면조사 없이 기소한 점 등도 불출석 사유로 언급했다. 검찰이 정치적 상황을 고려해 일정을 조율하는 것이 정치 중립과 공정성을 지키는 것이라는 취지의 의견도 담겼다고 한다. 최근 김 여사 측에선 대선을 앞두고 검찰이 전 영부인을 조사하는 것은 정치 중립에 어긋난다는 내부 논의가 있었다고 한다.
검찰은 김 여사가 밝힌 불응 사유를 검토하고 추가 소환 통보 여부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검찰은 김 여사가 추가 출석 요구에 반복해 응하지 않을 경우 법원에 체포영장을 청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수사기관은 피의자가 세 차례 정도 출석요구에 불응하면 체포영장을 청구해 신병 확보에 나선다.
소환에 불응하는 김 여사와 검찰 간 조사 일정 조율이 대선 전까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는 2022년 대선을 앞두고 정치브로커 명태균씨로부터 무상으로 여론조사를 제공받고, 그 대가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 등을 받는다. 검찰은 김 여사 관련 의혹이 방대한 만큼 대면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신지호 기자 p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