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정부가 대만인의 96%를 차지하는 한족을 ‘기타인구’로 분류했다. 야당은 집권 민진당이 대만 독립 이념에 매몰돼 역사를 부정했다며 반발했다.
대만 중국시보 등의 12일 보도에 따르면 대만 행정원은 지난 3월 공식 홈페이지의 ‘국정소개’ 중 ‘국토와 인민’ 코너에서 인구 구성에 대한 설명을 ‘호적 등록 인구 중 원주민 2.6%, 외국인 1.2%, 기타인구가 96.2%를 차지한다’로 변경했다. 이전에는 ‘호적 등록 인구 구성에서 한족이 가장 큰 집단으로, 전체 인구의 96.4%를 차지한다’고 설명돼 있었다.
행정원 리후이즈 대변인은 “대만 원주민과 한족을 양대 집단으로 구분하는 방식이 민족 간 차별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해 표현을 조정했다”면서 “정치적 고려는 없다. 불필요한 해석을 자제해 달라”고 말했다. 그는 원주민정체성법에 따라 원주민은 민족 정체성을 등록하지만 다른 민족은 등록하지 않는다는 점도 표현 변경의 근거로 들었다.
야당은 반발했다. 국민당 린페이샹 의원은 “행정원은 대만 인구의 96%가 한족이라는 사실을 무시했다”면서 “역사와 현재를 부정하는 것은 오로지 민진당 정부의 (대만 독립) 이념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라고 비난했다.
역사학자 시정펑은 “한족을 기타인구로 바꿈으로써 ‘한족 지우기’ 논란이 불거졌다”며 “탈중국화하고 중국과 분리되기 위해 대만인의 정체성까지 지운 것”이라고 꼬집었다. 비율이 낮은 집단을 우선 표기하는 것은 백분율에 대한 상식에 어긋난다는 점도 지적했다. 원로 언론인 자오샤오캉은 “뿌리를 망각하고 조상을 부정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