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선 첫날 쏟아진 ‘경제’ 공약… 정책 경쟁 더 치열해지길

입력 2025-05-13 01:30

6·3 대선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어제 후보들이 가장 강조한 것은 경제 관련 공약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출정식에서 “내란 종식과 위기 극복을 첫걸음으로 무너진 민생과 파괴된 경제를 되살리겠다”고 강조했다. 이후 경기 판교와 동탄, 대전 등 첨단산업 지역인 ‘K-이니셔티브 벨트’를 돌며 경제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서울 가락시장에서 열린 첫 유세에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살려내겠다”고 밝혔다. 또 ‘경제·시장·민생 대통령’이 되겠다고 약속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여수국가산업단지를 찾아 제조업 활성화 공약을 내놨다. 이들의 10대 공약에서도 AI 신산업과 문화산업 부흥(이재명), 기업하기 좋은 나라와 일자리 창출(김문수), 해외이전 한국기업 국내 유치(이준석) 등 경제 분야 정책들이 눈에 띄었다.

후보들이 너나 할 것 없이 경제 문제를 전면에 내건 것은 그만큼 한국 경제가 위기 상황에 놓여 있고, 국민들도 살기 어려워졌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경제가 얼마나 위태로운지는 각종 수치로도 속속 확인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이날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2026년 한국의 잠재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98%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잠재성장률 2%대 붕괴 전망은 1986년 통계 집계 이래 처음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최근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올해 1.8%, 내년 1.6%로 낮춰 제시한 바 있다. 그만큼 한국의 경제 엔진이 식어 있고, 그렇기에 미래도 불투명하다는 의미다.

이런 상황에서 후보들이 경제 회복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방점을 두고 경쟁에 나서 다행스럽다. 지금 경제를 살리는 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지도자라면 누구나 적극 매달려야 하는 사안이다. 그게 시대적 요구이고 유권자가 가장 바라는 바다. 오는 18일 대선 첫 TV토론 주제가 경제로 잡힌 것도 같은 이유다. 시급하다는 연금이나 노동 개혁도 경제성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제대로 달성하기 어렵다. 후보들이 남은 선거운동 기간에도 경제 위기를 타개할 방안을 놓고 열띤 정책 경쟁을 펼치길 바란다. 그렇게 경쟁하다 보면 공약의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고 새 정부 출범 뒤 신속한 정책 집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다만 후보들이 말만 번지르르한 장밋빛 공약만 내세워선 안 된다. 그것들을 어떻게 이뤄낼지에 대한 구체적 실행 방안을 함께 제시해야 한다. 유권자들도 추진 방안이 뚜렷하고 현실성 높은 공약을 내놓는 후보에게 더 마음이 끌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