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끌어 줄 선배가 없다는 게 1세대 신앙인인 우리에게 가장 큰 고민거리입니다.”
몽골 최대 신학교인 몽골연합신학교(UBTC) 총장을 지낸 푸르브도르지(55) 목사의 말이었다. 지난 8일 몽골 울란바토르 화이트홀에서 열린 몽골 목회자 콘퍼런스에는 그와 같은 문제의식을 가진 현지 교회와 신학교 지도자 60여명이 모였다. 이날 콘퍼런스는 선교단체 올미션(대표 장창영 목사) 주최로 열렸다.
몽골이 1990년 민주화 혁명 이후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 지 35년이 되는 해를 맞아 지난 여정을 돌아보고 향후 한국과 몽골 교회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참가자들은 몽골 교회의 ‘1세대’이거나 ‘원로’로 불리는 이들이 대부분이었는데 50대 전후의 나이로 보였다. 몽골 개신교의 길지 않은 역사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었다. 종교활동을 금하던 사회주의 체제가 무너진 뒤 해외 선교사들이 대학가를 중심으로 선교하던 초창기에 복음을 접한 이들이 목회자가 돼 몽골교회를 이끌고 있다.
게른차츠랄(49) 몽골 밝은미래교회 사모도 그중 한 명이다. 게른차츠랄 사모는 “초기에는 선교사님들이 교회를 돌아가면서 예배를 인도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1997년 남편 알탄소욤보(50) 목사와 함께 교회를 세웠다. 현재 서울광염교회(조현삼 목사)와 협력하며 몽골 전역에서 구제 사역을 펼치고 있다.
현재 몽골에는 600여개의 교회가 있다. 하지만 80% 이상이 재정적으로 미자립 상태다. 많은 목회자가 생계를 위해 이중직을 겸하는 실정이다. 몽골 대통령의 종교 자문인 바트볼드(50) 리빙월드크리스천처치 목사는 “해외 교회들이 건물을 세우기보다 사람을 세우는 데 힘을 보태주면 좋겠다”며 “예배당만 남고 성도나 목회자가 없는 경우도 있는데 현지 사역자들과 충분히 나누고 협력해 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콘퍼런스에서는 몽골 교회의 ‘다음 35년’을 위한 과제도 제시됐다. 푸르브도르지 목사는 “이제는 제자훈련과 함께 신학적 깊이를 더해 가야 할 때”라며 “몽골 교회에는 길잡이가 부족하다”고 토로했다. 그는 “초창기 선교사들에게 단기간 배운 이들이 신학교 교수로 임명된 사례도 많다”며 “한국교회가 삶과 목회, 교육 전반에서 선배이자 동역자가 돼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장창영 올미션 대표는 “올미션은 특정 교단이나 소속에 얽매이지 않고 누구와도 파트너십을 맺는 실용적 선교 플랫폼”이라며 “특히 현지 목회자 양성과 협력 사역에 집중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올해부터 몽골을 정기적으로 방문해 목회자 코칭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울란바토르(몽골)=글·사진 손동준 기자 sd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