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대만 타이중시의 한 지하철. 객차에서 묻지마 칼부림이 벌어졌다. 일촉즉발의 상황. 곧바로 20대 후반의 승객 쉬리시엔씨가 범인에게 달려들었다. 흉기 3개를 휘두르던 범인과 쉬씨를 비롯한 시민들의 공방이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쉬씨는 왼쪽 얼굴을 9㎝ 이상 베였다. 그를 포함한 용감한 시민들 덕에 큰 피해 없이 사태는 마무리됐다. 이어진 쉬씨의 언론 인터뷰. 그는 일본 애니메이션 속 캐릭터로부터 영감을 받아 범인을 제압했다고 설명했다. 그가 언급한 작품은 일본 만화 ‘장송의 프리렌’. 작품 속 용사 힘멜은 마왕을 무찌를 정도로 강하지만, 항상 어려운 사람을 돕는 이타적인 캐릭터다. 작중 힘멜의 동료들은 스스로 선한 행동을 할 때마다 “힘멜이라면 그렇게 했을 것”이라고 되뇐다. 쉬씨도 “그 대사가 내게 용기를 줬다”고 거들었다.
국적을 떠나 요새 청춘들은 과거 사회 문제의 주범으로 지탄받던 만화에서 교훈을 습득하고 있다는 게 신기했다. 아울러 전인(全人) 교육을 도맡아온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의 공백이 체감돼 씁쓸한 기분도 들었다. 믿고 따를 사람이 오죽 없으면 현실이 아닌 만화 속에서 멘토를 찾고 있을까 싶은.
남을 돕는 좋은 사람이 되라. 내뱉긴 쉽지만 실천하기 어려운 이 명제를 누구나 유아 때부터 반복 학습하던 시절이 있었다. 집에선 부모가, 학교에선 교사가 멘토로서 자녀 혹은 학생에게 사람답게 사는 법을 가르쳤다. 공부보다 성품을 기르는 게 더 중요하다는 취지였다. 가끔 엇나가는 아이가 있으면 지역사회가 합심해 성질을 고쳐놓기도 했다. 무서운 옆집 아저씨가 훈수를 두고, 뒷집 아주머니가 예절을 거들던 때다.
아이 하나를 키우기 위해 마을 전체가 나섰던 시대는 금세 저물었다. 1인 가구가 늘고, 삭막한 도시 생활이 보편화되고, 이웃 간 왕래가 줄고, 학교는 명문대를 가기 위한 발판 정도로 추락했다. 어떤 가치관을 갖고 삶을 마주할지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좋은 대학을 나와 성공할 수 있을지가 학창 시절의 유일한 관심사가 됐다. 삶의 방향을 묻고 답할 멘토도 덩달아 사라졌다. 그러자 불안을 호소하는 성인이 늘기 시작했다. 일단 어른은 됐는데 무한 경쟁이 반복되는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여전히 모르겠다는 것이다. 2010년대 반짝했던 멘토 열풍은 이를 파고들었다. 청춘 콘서트를 비롯한 멘토링 강연이나 관련 TV 프로그램이 쇄도했다. 강준만 전북대 명예교수는 2012년 펴낸 ‘멘토의 시대’에서 멘토 열풍의 핵심 코드로 위로를 꼽았다. 주로 공인인 멘토들이 이른바 ‘88만원 세대’의 고통에 공감하면서 인기를 얻었다는 분석이다. 그랬던 멘토들은 논문 짜깁기, 막말 논란 등이 불거지며 하나둘 사라졌다. 대중의 눈높이도 덩달아 높아지면서, 이제 우리 사회에는 더 이상 존경할 만한 어른이 없는 것 같다. 막막하다. 용사 힘멜과 같은 완벽한 멘토는 현실에선 영영 찾아보기 어려울지도 모른다.
무결한 멘토의 출현을 하염없이 기다릴 수만은 없다. 대신 강 교수는 멘토의 제도화를 강조한다. 멘토에겐 배려의 덕목이 있는데, 우리 사회 제도에 그런 인간미를 접목해보자는 얘기다. 강 교수는 한국에서 줄서기 문화가 자리 잡은 배경에는 한국인의 의식이 갑자기 선진화한 게 아니고, 대기번호표 발급기가 기관 곳곳에 설치된 덕이 크다고 설명한다. 이런 좋은 제도를 우선 만든 뒤 사람들이 수용케 하는 식으로 멘토링을 상시화하고, 긍정적인 삶의 방향을 자연스럽게 이식하자는 주장이다. 그는 정당에서부터 멘토의 제도화를 시작하자고 제안했는데, 글쎄. 대선을 앞두고 합종연횡을 반복하는 정치판에 너무 큰 기대를 하는 건 아닐까 싶다.
박세환 뉴미디어팀장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