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8년까지 수소열차 상용화를 목표로 ‘수소전기동차(수소 열차) 실증 연구개발(R&D)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이에 따라 교외선(능곡~의정부), 경북선과 같은 비전철 노선(전기가 아닌 다른 동력원을 사용하는 열차노선)의 노후 디젤 열차가 친환경 수소 열차로 대체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7일 수소 열차 실증사업을 위해 지난달부터 2027년 12월까지 321억원(정부 200억원·민간 121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실증사업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주관하며, 2022년 국가 연구개발로 확정된 관련 기술을 바탕으로 조기 상용화를 이룰 계획이다.
수소열차는 저장용기에 보관된 수소를 연료전지에 공급해 전기를 생산하고, 이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친환경 교통수단이다. 외부 전력 공급이 필요 없어 일반철도 공사비의 약 18%를 차지하는 전차선 설비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디젤 열차보다 에너지 효율이 배 이상 높고, 탄소 배출이 없어 노후 디젤 열차를 수소 열차로 교체할 경우 연료비를 절반가량 절감할 수 있다.
독일은 2018년 9월 세계 최초로 수소열차 상용화에 성공했고, 미국·중국 등도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세계 수소열차 시장은 연평균 35% 이상 성장해 2035년까지 약 264억 달러(약 37조6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실증사업으로 정부는 출력 1.2㎿, 최고 운행속도 150㎞/h(설계속도 165㎞/h), 1회 충전 주행거리 600㎞ 이상의 성능을 갖춘 중·근거리용(통근용) 수소 열차 1편성(2량)을 2027년까지 제작할 계획이다. 이후 형식승인 등 안전성 검증을 거쳐 실증 노선에서 시범 운행에 들어간다.
현재 운영 중인 비전철 노선에 수소 충전소와 차량 검수 시설 등 관련 인프라를 구축해 운행시설 성능과 적합성도 검증한다. 수소 열차 기술 기준과 운영 및 관리 규정을 마련하고, 관련 제도 개선과 불합리한 규제 해소도 추진한다. 정부 관계자는 “수소 열차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