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군 경력 호봉 의무반영”… 무당층 많은 2030 공략

입력 2025-05-06 18:55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030 청년층을 겨냥해 자산 형성, 구직, 주거 지원 등 생활 밀착형 공약을 발표했다. 군 복무 경력을 공공기관 호봉에 의무적으로 반영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이 후보는 6일 충북 영동 중앙시장을 방문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청년 문제의 핵심은 누가 뭐래도 결국 일자리”라며 “지역으로 갈수록 취업 기회가 없다시피 하고, 수도권에 가더라도 마땅한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교육과 역량 계발의 기회, 자산 형성의 기회도 정부가 만들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페이스북을 통해서도 “청년내일채움공제 시즌 2(가칭 ‘청년미래적금’)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청년층 자산 형성을 정부가 직접 돕겠다는 것이다.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과 거래 수수료 인하, 청년 맞춤형 재무상담 프로그램 도입도 공언했다.

청년 구직과 주거 대책도 발표했다. 자발적 이직 청년 대상 ‘구직급여’ 지급과 청년 맞춤형 공공분양·공공임대 확대, 상생형 공공기숙사 공급 등을 골자로 한다. 이 후보는 전세사기특별법을 개정해 피해자 구제를 확대하고 가해자 처벌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1인 가구 대상 범죄 예방 시스템 강화와 군 복무 경력 공공기관 호봉 의무 반영 등 성별 맞춤형 공약도 일부 내놨다. 다만 이 후보는 이에 대해 “왜 자꾸 남성과 여성을 따로 가르느냐. 다 같은 대한민국 국민”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가 지난 대선 때 제안했던 청년기본소득이나 사법시험 부활 등 대신 생활 밀착형 공약을 내세운 건 무당층 비중이 높은 청년 세대의 성향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이날 충북과 충남, 전북을 순회하는 ‘경청투어’를 이어갔다. 인구 위기 지역의 소득·정주 여건을 개선해야 청년층 유입이 늘고 소멸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충북 보은에서 수도권 과밀화 해소 필요성을 언급하며 “지방을 살려야 한다면서 왜 재정 지원을 똑같이 하거나 서울·수도권에 더 많이 하느냐”고 지적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