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말 종로를 비롯한 서울 주요 공간을 선점한 개척 선교사들의 선교 전략이 부흥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왔다.
옥성득 미국 UCLA 교수는 지난 4일 줌(Zoom)을 통해 진행된 한국기독교역사학회(회장 정병준 교수) 제434회 학술발표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옥 교수는 이날 ‘지도와 사진으로 본 서울의 종교 공간의 변화’ 제하의 발표에서 1884년부터 1915년까지의 기간을 세 시기로 구분해 개신교 확산과 선교사들이 세운 교회와 병원 등이 어느 지역으로 퍼져나갔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공간과 선교’의 상관 관계를 조명했다.
옥 교수는 초창기 개신교 선교사들이 제물포항을 지나 여의도와 마포, 애오개, 서소문을 거쳐 정동까지 이동했다고 밝혔다. 옥 교수는 “한국에 들어온 초기 개척 선교사들은 종교 공간이 들어설 위치를 직접 그리거나 카메라로 촬영하면서 지리적, 문화적 특징을 파악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선교 전략을 구상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울 정동이 개신교 선교사들의 첫 거주지가 된 이유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미 북한산 주변에 불교와 도교 사찰, 유교 사당이 배치돼 있었다"며 "조선 말기의 다종교 수용으로 여러 종교가 혼재돼 있던 상황에서 정동은 선교사들이 발견한 '종교 진공 공간'이었다"고 평가했다.
옥 교수는 윌리엄 B 스크랜턴 선교사와 제임스 S 게일 선교사 등이 그린 지도도 공개했다. 이 지도를 통해 선교사들이 의료 선교 정책을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걸 알 수 있다고 했다.
옥 교수는 "의사였던 스크랜턴이 그린 지도에는 서울 정동, 상동, 애오개 진료소 위치만 표시했는데 이는 의료선교를 통해 선교 영역을 확장하려던 당시 북감리회의 전략적 계획이 반영돼 있다"면서 "1894~1905년까지 영국 선교사의 지도가 눈에 띄게 증가한 것이 큰 변화인데 이 시기 지도에는 공사관과 철도 노선이 강조돼 표기됐다"고 소개했다.
일제강점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통감부 시절 지도엔 일본 종교 사원 증가와 교회의 축소가 확연히 나타난다고 했다. 옥 교수는 "통감부 초기 서울 중부는 선교사들이 세운 교회와 일본 개신교 조합교회는 물론 일본 불교 등 다양한 종교의 각축장이 됐다"며 "서울의 주요한 공간을 차지하는 게 각 종교의 교세 확장에 영향을 줬기 때문에 이처럼 다양한 종교 시설이 생겨났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박윤서 기자 pyuns@kmib.co.kr
제물포→ 여의도·애오개·서소문→ 정동… 개척 선교사들 다 계획이 있었네
입력 2025-05-07 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