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李 휴대전화 ‘0189’의 비밀?… 참모 22명도 뒷번호 똑같다

입력 2025-05-06 18:46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그의 성남시장 시절부터 함께한 참모진 다수가 휴대전화 뒷번호로 ‘0189’를 사용하고 있다. 이 후보 주변에서는 “0189가 ‘성남 패밀리’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라는 말도 나온다.

국민일보가 6일 이기인 개혁신당 최고위원을 통해 입수한 ‘성남시 공용 휴대폰 개통 및 교체 현황’에 따르면 이 후보의 시장 재임 때 성남시에서는 뒷번호가 0189인 휴대전화 번호가 23개나 사용됐다. 시장실에서 개통한 36개의 번호 중 17개의 뒤 4자리가 0189였다. 부시장실에서 1개, 기타 부서에서도 5개의 0189 번호가 더 쓰였다. 기록을 보면 0189의 사용 시초는 이 후보로 보인다. 그는 성남시장에 처음 당선됐던 2010년 11월 처음 이 번호를 개통했다. 이 후보는 지금도 같은 번호를 사용 중이다. 개통 시점상 참모진은 이 후보의 휴대전화 뒷번호를 따라 쓴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는 현재도 같은 번호를 쓰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시장 재임 시절 성남시에서 사용된 공용 휴대전화 중 뒷번호가 0189인 전화 사용자 목록 및 개통 시기. 정진상 당시 정책보좌관 등 핵심 참모들이 이 후보의 휴대전화 개통 이후 같은 뒷자리로 개통한 것으로 보인다. 이기인 개혁신당 최고위원 제공

2013년 1월에는 0189로 끝나는 휴대전화 10개가 새롭게 개통되기도 했다. ‘복심’으로 불린 정진상 당시 정책보좌관을 비롯해 이 후보를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던 비서관들이 사용자로 이름을 올렸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성남시장 초기 ‘정진상 라인’을 엿볼 수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성남시 출신 한 인사는 “숫자 자체에는 큰 의미가 없다. 단지 시장님의 번호를 따라 썼던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도 0189를 쓰고 있는 한 인사는 “정무직 비서관들이 대체로 0189 공용폰을 썼다”며 “숫자에 큰 의미는 두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이를 비판적으로 보는 한 관계자는 “상사의 휴대전화 뒷번호까지 따라 쓰는 것은 보기 드문 일”이라며 “공조직 내에서 불필요한 사조직으로 비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정치권 인사는 “리더에 대한 과도한 충성심을 보여주는 동시에 ‘측근 실세’임을 시청 내외부에 과시하려는 목적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0189의 의미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바 없다. 시장 취임 이후 업무폰 개정 과정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번호일 가능성도 있다. 다만 이 후보는 일부 이메일 계정에도 숫자 0189를 넣었었다. 또 온라인상에 0189가 들어간 본인 전화번호가 노출되고, 해당 번호가 정치적 공방의 소재가 되기도 했음에도 굳이 이를 변경하지 않고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만약 이 후보가 직접 선택한 숫자라면 사법연수원을 수료한 1989년 1월을 상징하는 숫자일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 후보는 사법연수원 시절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특강을 인상 깊게 듣고 인권변호사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다고 저서 등을 통해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이 후보 측 한 관계자는 “훗날 정치에 참여했지만 초심을 잃지 말자는 뜻에서 1989년 1월을 기억하기 위해 받은 번호일 수도 있겠다”고 전했다. 이 후보는 0189의 의미를 묻는 국민일보 질문에 “특별한 의미는 없다”고 짧게 답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