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복구의 시간’… 경북 산불 복구비 1조8310억원 확정

입력 2025-05-06 19:00
산불 피해를 입은 경북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에서 피해 주택을 정리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경북과 대구가 산불 피해 복구와 산불 대응 시스템 전환에 속도를 낸다.

경북도는 역대 최대 규모 피해를 낸 경북 산불 복구비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1조8310억원으로 확정함에 따라 복구를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경북 산불은 1986년 이후 집계된 산불 통계치로는 역대 최대 피해 면적을 기록했다. 피해 면적이 9만9289㏊에 이르고 주불 진화에 149시간이 소요됐다. 2246세대, 3587명의 이재민이 발생했고 주택 3819동, 농기계 1만7265대, 농작물 2003㏊, 농·축·어업시설 1953곳, 어선 31척 등이 피해를 입었다. 또 마을 상·하수도 58개와 문화유산 31곳 등 공공시설 700곳 이상이 소실됐다. 피해액은 1조505억원에 이른다.

복구비는 주택, 가재도구 등 생활 기반이 모두 전소된 산불 피해의 특성을 고려해 피해 주민 주거·생활 안정과 생업 복귀에 중점을 두고 편성됐다. 산불로 전소된 주택은 기존 지원금과 추가 지원금, 기부금 등을 포함해 최소 1억원 이상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산불로 소실된 농작물과 농업시설은 지원단가를 현실화하고 지원율을 상향했다.

마을 전체 소실 등으로 지역 소멸 우려가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마을공동체 회복을 위한 각종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농기계 피해지원 품목도 기존 11종에서 38종 전 기종으로 확대하고 지원율을 높인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도 확대한다.

경북도는 다가오는 우기에 산불 피해지역에서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6월 중순까지 응급 복구와 예방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초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이 일상으로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복구를 조속히 추진할 것”이라며 “이전보다 개선된 삶의 터전을 구축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시도 최근 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 이후 달라진 모습이다. 지난달 28일 발생한 산불은 진화와 재발화를 반복하다가 지난 1일 완전히 잡혔다. 피해 면적은 310㏊에 이른다. 특히 도심형 산불의 위험성을 보여줬다.

이에 대구시는 산불 진화 후 실화 예방을 위한 대시민 호소문을 발표하고 예방 홍보활동을 강화했다.

산불 대응 시스템 강화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산불 등 재난 현장 조기 대응을 위한 재난안전기동대 구성에 속도를 내고 산불 관계 기관 간 협력·소통도 강화할 방침이다. 또 도심형 산불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한 논의도 시작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