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30일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에게 청탁 명목의 금품이 전달됐는지 확인하기 위한 강제수사에 나섰다. 검찰은 ‘건진법사’ 전성배(65)씨가 각종 인사 및 공천과 관련한 청탁 대가로 금품을 챙긴 의혹과 관련한 증거 확보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윤 전 대통령 사저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통해 전씨가 챙긴 금품이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게 전달됐는지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부(부장검사 박건욱)는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윤 전 대통령 사저 압수수색을 진행하면서 ‘김건희 여사 선물용’으로 전씨에게 전달된 금품의 행방을 찾는 데 집중했다. 전씨가 2022년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씨로부터 받은 것으로 알려진 6000만원 상당의 ‘그라프(Graff)’사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명품백 등이 김 여사 측에 전달됐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검찰은 윤씨가 통일교 캄보디아 사업 추진 과정에서 정부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지원을 받기 위해 전씨를 통해 윤 전 대통령 부부 측에 청탁을 시도한 것으로 의심한다. 또 윤씨를 대통령 취임식에 초청해달라는 청탁도 있었는지 수사 중이다. 검찰은 전씨가 기도비 명목의 3000만원을 ‘잘 받았다’고 윤씨에게 답하는 취지의 문자메시지도 확보했다. 앞서 윤씨는 통일교 내부 행사에서 2022년 3월 당선인 신분이던 윤 전 대통령과 1시간가량 독대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기획재정부는 2022년 6월 향후 5년간 캄보디아에 대한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차관 지원 한도를 기존 7억 달러에서 15억 달러로 증액했다. 윤 전 대통령 부부는 2022년 11월 캄보디아 순방에 나서기도 했다.
법조계에서는 현재 참고인 신분인 김 여사가 피의자로 전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날 검찰의 압수수색 대상에는 김 여사의 휴대전화와 메모장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여사가 운영했던 코바나컨텐츠 사무실과 김 여사 수행비서 자택 2곳에 대한 압수수색도 함께 진행됐다. 검찰은 압수품 분석을 통해 금품수수 의혹을 확인할 계획이다.
검찰은 전씨가 윤 전 대통령과 김 여사를 고리로 각종 청탁을 받았다는 의혹을 전방위로 수사하고 있다. 지난해 전씨의 법당과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검찰은 정치권과 재계, 법조계 인사 등 수백명의 ‘명함 뭉치’를 확보했다. 전씨 자택에서는 ‘한국은행’ 표시가 붙은 관봉권 뭉치(5000만원)를 포함한 1억6500만원의 현금도 발견됐다. 검찰은 전씨가 ‘기도비’ 명목으로 금품을 받아 윤 전 대통령 부부와의 만남을 주선하거나 인사에 개입하는 ‘정치 브로커’ 역할을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수사 중이다.
윤 전 대통령 사저 압수수색이 이뤄진 것은 처음이다. 앞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지난 1월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와 관련해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와 대통령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여러 차례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신재희 이서현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