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후보 2차 경선에서 김문수 한동훈 후보가 결선에 진출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의 대표적 반대론자(김문수)와 찬성론자(한동훈)가 맞붙어 최종 후보를 가리게 됐다. ‘반탄’ 대 ‘찬탄’의 결선 구도는 대선 국면에 국민의힘이 처한 상황의 미묘함을 웅변한다. 비상계엄마저 옹호하는 강경 지지층과 탄핵을 불가피하게 여기는 중도적 민심 사이의 어정쩡한 지점에 당의 노선이 머물러 있다. 지난 몇 달간 지도부가 “계엄은 잘못이지만 탄핵에는 반대한다”며 모호한 입장을 고수해온 결과물이기도 하다. 지지층의 반탄 여론에 기대 탄핵 정국을 버티자던 선택이 조기 대선 국면에 와서도 여전히 탄핵의 늪을 벗어나지 못하는 현실로 이어졌다.
이는 당내 대선 주자들의 정치적 시야가 협소해지는 부작용을 낳았다. 여러 후보가 1·2차 경선을 치러 두 사람으로 압축됐지만, 찬탄·반탄의 구분을 넘어 김·한 후보를 설명하는 키워드를 떠올리기 어렵다. 이미 ‘과거’가 돼버린 논쟁에 매달리느라 정작 말해야 할 ‘미래’를 충분히 제시하지 못했다. 대선은 나라의 앞날에 대해 서로 다른 비전을 꺼내놓고 경쟁하는 무대다. 지도부가 결선 진출자들에게 “과거 책임 공방을 넘어선 정책과 비전 대결”을 당부한 것은 그간의 경선 과정에서 대선의 무게에 걸맞은 비전 제시가 이뤄지지 못했음을 방증한다.
이런 상황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가 가시화했다. 국민의힘은 당내 경선 결과보다 한 대행 출마를 더 기다리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2차 경선 결과 발표를 앞두고 “단일화 경선을 통해 더 큰 집을 지으면 승리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국힘 후보와 한 대행의 단일화 추진 방침을 공식화했다. 이른바 ‘빅텐트’ 구상이 당의 대선 전략임을 드러냈다. 하지만 산술적 세력 결집 차원의 빅텐트로는 민심을 얻기 어려울 것이다. 결집의 구심점이 되는 가치가 유권자에게 울림을 줄 수 있어야 하며, ‘반명(反이재명)’ 깃발은 그러기에 충분치 않다. 당내 경선이든, 단일화 경선이든, 또 어떤 과정을 거치든 과거의 구태 정치를 극복하는 명확한 비전을 내놓아야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이번 대선은 대통령 선출을 넘어 새로운 미래를 설계할 기회다. 지난 대선의 진흙탕을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정책 경쟁이 유권자의 시선을 사로잡으려면, 후보들이 참신하고 창의적인 구상을 테이블에 올려놓아야 한다. 국민의힘 후보가 되려는 이도 그 역할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