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발 물러선 트럼프, 車 관세 중복 없애고 부품 관세 완화 방침

입력 2025-04-29 18:49 수정 2025-04-30 00:09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사진) 미국 대통령이 이미 발효된 자동차 관세를 일부 완화하고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도 관세 부담을 낮추기로 했다는 미국 언론 보도가 나왔다. 관세전쟁 이후 자동차업계에서 반발이 이어지자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에 이어 품목별 관세에 대해서도 조정에 나서는 모양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에 부과된 관세가 다른 기존 관세와 중복되지 않게 하고 미국 내 자동차 제조에 사용되는 외국 부품에 대한 일부 관세도 완화할 예정”이라며 “이번 조치는 소급 적용돼 이미 납부한 관세에 대해 제조 업체들이 환급받을 수 있게 된다”고 보도했다. 완성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낸 기업은 철강·알루미늄 등 다른 관세를 추가로 내지 않아도 되며, 이미 납부한 관세는 환급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트럼프 행정부는 또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와 관련해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게 하는 조치도 취한다. 1년간은 미국산 자동차 가격의 3.75%에 해당하는 금액이, 두 번째 해에는 2.5%만큼 부품 관세가 환급된 뒤 이후에는 폐지된다고 WSJ는 전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이번 합의는 국내에서 생산 활동을 하는 기업들에 보상을 제공하고, 미국에 대한 투자와 국내 제조 확대를 약속한 업체들에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대통령의 무역 정책에 있어 큰 승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드의 최고경영자(CEO) 짐 팔리는 “업계와 소비자에게 미치는 관세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번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트럼프가 강경한 관세 정책에서 점점 돌아서고 있는 데에는 참모들의 전방위적 설득이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이 나온다. 악시오스는 “백악관 내부에선 참모들이 매일 트럼프의 세계관을 부드럽게 바꾸려 애쓰고 아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관세 온건파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등은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 같은 관세 강경파를 제외시킨 가운데 트럼프와 단독으로 면담하려 노력하고 있다. ‘공포 전략’을 활용해 트럼프에게 경제위기를 부각하는 방법도 동원됐다. 최근 월마트, 타깃 등 소매 업체 CEO들이 트럼프를 만나 경제위기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 대표적이다.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은 트럼프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는 선에서 기업의 조언을 전달하기 위해 자동차 업체 대표 등과의 회의 일정을 주선하고 있다고 악시오스는 전했다.

베선트 장관은 29일 오전 백악관에서 진행한 트럼프 취임 100일 경제 성과 브리핑에서 한국, 인도, 일본 등 아시아 국가와의 협상 합의 발표 시기를 묻는 질문에 “이들은 협상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협력해왔다”며 “한국과의 협상 윤곽이 점차 드러나고 있다”고 답했다. 다만 한국과의 구체적인 협상 내용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