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또 개미만 당했다… 꼼수 상장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입력 2025-04-30 01:10

한국투자증권이 코스닥 등록을 주관한 바이오 기업 오름테라퓨틱이 두 달 만에 핵심 파이프라인 임상을 중단했다. 이에 그제 이 종목 주가가 코스닥 시장에서 하한가까지 내려 상장 첫날 기록한 사상 최고치 4만2250원 대비 반토막이 났다.

지난해 말 상장에 도전했던 오름테라퓨틱은 시장 한파와 표적 단백질분해제(TPD) 후보물질 ‘ORM-5029’의 임상 1상 이상 징후가 겹치면서 계획을 철회했다. 당시 한투증권은 이 기업 가치를 최대 8149억원에서 6000억원대로 크게 낮춘 뒤 지난 2월 상장에 성공했다. 그러나 상장 전 임상 환자 1명 사망으로 환자 모집이 중단된 상황임에도 상장을 강행하고 두 달 뒤에야 임상을 중단한 것을 두고 벤처캐피털사 등의 초기 투자금을 보전해주기 위해 시간을 끈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더 큰 문제는 꼼수 상장으로 의심되는 이 같은 기업공개(IPO) 사례가 여과 없이 이어진다는 점이다. 한투는 2023년 반도체 팹리스 업체 파두 상장의 공동주관사였다. 파두는 주요 거래처 발주 중단과 매출 급감 리스크를 숨긴 채 예상 매출액을 과도하게 산정했다 상장 뒤 실적 부진이 드러나며 주가가 급락했다. 국내 증시 최초로 상장예비심사가 취소된 이노그리드 사태 역시 한투가 주관했던 건이다. 잇따른 투자자 피해를 단순한 우연이라 보기 어렵다.

투자자 보호를 책임져야 할 주관사가 오히려 리스크를 방조하고 있는 건 아닌지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 한국거래소 역시 핵심 리스크를 제대로 가리지 못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당국이 솜방망이 심사를 반복하는 한, 정보 비대칭에 따른 개인 투자자 피해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 당장 대수술에 나서 핵심 리스크와 실적 악화 등을 숨긴 기업은 상장 취소 등 강력한 조치를 해야 한다. IPO 직후 일정 기간 내 발생한 중대한 가치 훼손에 대해 주관사에도 연대 책임을 묻는 제도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