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 인지하고도 단기 채권을 발행한 혐의를 받는 홈플러스 경영진 등에 대한 강제 수사에 착수했다. 검찰은 투자자에게 손실을 떠넘기려고 단기 채권을 발행한 것은 아닌지 수사할 계획이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검사 이승학)는 28일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와 최대주주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대표 등의 자택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영장에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혐의 등이 적시됐다.
검찰은 홈플러스와 MBK 경영진이 신용등급 하락 등 위기 징후를 파악하고도 채권을 발행한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지난 2월 25일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하락할 것이라는 통보를 받았다. 그런데 홈플러스는 당일 829억원 규모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를 발행했고, 지난달 3일까지 모두 5899억원 상당 단기 채권이 판매된 것으로 드러났다. 홈플러스는 유동성 위기를 이유로 지난달 4일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으로 채권 상환이 중단되자 신영증권 등은 지난 1일 김 부회장 등을 검찰에 고소했다. 금융감독원은 “MBK가 신용등급 하향을 사전에 인지한 정황이 있다”며 지난 21일 사건을 패스트트랙 형식으로 검찰로 넘겼다. 홈플러스 측은 “예상치 못한 신용등급 하락으로 부도를 막기 위해 회생을 신청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검찰은 홈플러스와 MBK 경영진이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고도 고의로 채권을 발행했는지 등을 수사할 계획이다.
김재환 기자 j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