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 5만대 시대 눈앞, 전국 충전소는 218개뿐

입력 2025-04-29 00:10
국민일보DB

올해 국내 수소차가 누적 판매량 5만대를 돌파할 전망이다. 다만 부족한 충전 인프라가 수소차 확산에 발목을 잡고 있다. 정부 차원의 수소 에너지 통합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국내 보급된 수소차는 지난달 기준 누적 3만9216대로 집계됐다. 현대자동차 넥쏘 등 승용차가 3만7227대로 94.9%를 차지한다. 최근 현대차가 7년 만에 신형 넥쏘의 완전변경 모델을 출시했고, 정부도 1만3000대 분량의 수소차에 7218억원 규모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하면서 올해 안에 5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수소차는 전기차보다 친환경적이고 더 긴 주행거리를 구현할 수 있다. 그래서 전기차 시대 이후를 생각하는 완성차업체는 ‘수소차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최근까진 현대차와 토요타의 한·일 맞대결 구도가 형성돼 있었다. 다만 수소 충전소 확보는 풀어야 할 숙제다. 현대차가 2013년 세계 최초 양산형 수소차를 출시한 지 14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시장 자체가 크지 않은 이유다. 현재 수소 충전소는 전국에 218개 있다. 경기도에 38개로 가장 많고, 경남(23개) 충북(22개) 순이다. 서울엔 여의도 국회의사당, 서울시 서소문청사, 양재동, 상일동, 마곡동 등 총 9곳뿐이다. 일부 도심 충전소는 대기시간이 길어 예약제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현대차는 최근 ‘고압 이동형 수소충전소’를 개발했다. 상대적으로 설치에 제약이 적다. 다만 충전사업소가 도심에 부지를 확보하는 게 쉽지 않다. 수소차 보급이 확산되지 않은 상황에서 경영상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 한 수소산업 전문가는 “전국 관공서, 정부기관, 공기업 등에 우선적으로 수소충전소를 설치하면 도심 충전소 수를 늘릴 수 있다. 충전사업자의 재무상태도 개선돼 충전소 확대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미국 중국 등 경쟁국은 정부가 직접 나서 수소 에너지 확산에 사활을 거는 분위기다. 일본은 경제산업성 산하 자원에너지청에서 실질적인 수소 정책을 총괄한다. 25개 관련 기업이 참여한 ‘JHyM’(제이하임)이 수소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을 담당하고 정부가 이를 지원한다. 미국은 에너지부(DOE) 주도로 2023년 10월부터 ‘지역 청정수소 허브 프로젝트’(H2허브) 7곳을 선정해 70억 달러(약 10조765억원)를 지원하고 있다. 중국은 국가에너지국에서 수소를 포함한 신에너지 정책을 총괄한다. 지난해 11월 관련법을 통과시키고 올해 1월부터 수소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국도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다른 수소산업 전문가는 “수소 공급망 관리를 총괄하는 기관이 없기 때문에 외부 충격 시 공급이 불안정하고 유통단가가 크게 흔들릴 수 있다”며 “수소도 전기나 도시가스처럼 수소 전담 기관 신설을 통한 국가 차원의 통합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