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해킹 공격을 받은 사실을 법정 시한을 넘겨 신고했다는 점이 알려진 가운데 신고 접수·조사 역할을 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대응을 놓고도 논란이 일고 있다. KISA가 SK텔레콤이 밝힌 사고 인지 시점보다 더 늦은 시간을 사고 시점으로 기록했다는 것이다.
27일 KISA가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사건 경과 기록에는 SK텔레콤의 해킹 사건 인지 시점(사고 시점)이 20일 오후 3시30분으로 기록됐다. SK텔레콤이 신고 당시 해킹 정황을 처음 파악하고 내부에 정보를 공유한 시점이 18일 오후 11시20분이었다고 설명했음에도 KISA는 사고 시점을 그로부터 40시간 뒤로 기록했다. 해당 시점은 SK텔레콤의 보안 책임자가 KISA 신고를 결정한 시각이었다.
최 의원은 “SK텔레콤이 18일 밤 해킹을 인지하고 상부 보고한 것이 명백한데도 KISA가 사고 시점을 20일로 보고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사건 인지 24시간 내 신고를 하도록 돼 있는 정보통신망법 규정을 SK텔레콤이 위반했음에도 이를 무마해주기 위해 수정한 것 아니냐는 문제 제기다. KISA 측은 “실무자가 사고 인지 시점을 SK텔레콤 측에 물었을 때 20일 오후 3시30분이라고 답변을 들으며 혼선이 발생했다”고 해명했다.
윤준식 기자 semipr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