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이 사실상 없던 일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여러 이유를 들어 광주시에 국제선 임시취항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토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 23일 이상갑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 등에게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이 관계자는 “APEC 정상회의 규모 이상의 국제행사 외에는 국제선 부정기편 임시취항을 승인하기 어렵다”는 취지로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시는 지난 15일 국토부에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을 정식으로 신청했다. 이어 광주시 관계자들이 국토부를 방문해 임시취항 관련 면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관계자는 국토부가 중장기적으로 광주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통합, 이전하기로 한 상황에서 광주공항에 국제선 부정기편 임시취항을 위한 시설 설치와 투자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2021년 제6차 공항개발종합계획(2021∼2025)을 고시하고 무안공항을 서남권 관문 공항으로 육성하기 위해 광주공항과 무안공항의 통합·이전을 광주 군공항 이전과 연계해 추진하기로 했다. 해당 계획에 따라 향후 광주공항의 기능이 무안공항으로 완전 통합될 예정인 만큼 국제선 부정기편 취항의 실익이 크지 않다고 본 셈이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12월 29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국토부가 굳이 위험부담을 감수하면서까지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을 승인하겠냐는 부정적 관측도 나온다. 광주시 한 관계자는 “참사 여파로 국토부 조직 자체가 워낙 위축돼 있다 보니 업무 추진 과정이 수동·피동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 같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당초 국토부가 3월 중 무안공항 재개항 로드맵을 발표하면 그 내용을 보고 국제선 임시 취항 신청서 제출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무안공항 폐쇄 기간이 7월까지로 재연장되고 로드맵 발표도 지연됨에 따라 국제선 임시취항 신청서를 제출했다.
시는 부정기편 취항 승인에 재량 여지가 많다고 보고 국토부를 계속 설득해 나갈 방침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부정기편 허가 처리 지침에는 재량 여지가 많아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은) 국토부가 의지만 있다면 허가할 수 있는 사항”이라며 “위축된 지역 관광업계의 어려움 뿐만 아니라 지역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국제선 임시취항의 필요성을 계속 요청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이은창 기자 eun526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