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나선 김문수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24일 열린 ‘1대 1 토론’에서 예고됐던 대로 12·3 비상계엄 사태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문제를 두고 격돌했다. 뒤이은 김 후보와 안철수 후보의 토론에서도 탄핵을 둘러싼 공방이 벌어졌다.
김 후보는 서울 종로구 채널A스튜디오에서 열린 2차 경선 ‘맞수 토론회’에서 “오늘 이렇게 다시 만난 것, 대선을 다시 해야 하는 것도 모든 책임이 한 후보에게 있다”며 탄핵 책임론을 제기했다. 한 후보는 “저는 민주주의자이고 공화주의자다. 우리 아버지가 불법 계엄을 했어도 저는 막았을 것”이라며 “저는 당대표로서 계엄을 저지한 세력으로 국민에게 미래를 제시하겠다”고 응수했다. 김 후보가 “(당대표 시절) 대통령과 (갈등)하는 것 보고 사람이냐, 인간의 도리에 대해 생각했다”고 거듭 비판하자 한 후보는 “우리는 국민을 위한 도구고 종이다. 민주주의자 맞으시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김건희 여사 문제, 명태균씨 의혹 등을 거론하며 “저는 아첨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바로잡으려고 노력했다. 대통령의 잘못을 바로잡으려고 한 게 저밖에 없었던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 후보는 “(김 후보가) 올해 2월 전 목사한테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목사’라고 칭찬하지 않았느냐”며 김 후보와 전 목사와의 관계를 따졌다. 김 후보는 “대선에 출마하는지 만나본 적도 없고, 그와 관련한 소통도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한 후보는 김 후보의 전과를 거론하며 “전과 숫자로 말하면 이 후보의 확정 전과보다 김 후보의 숫자가 더 많다. 두 건은 전 목사와 직접 관련이 있는 사안”이라고 직격했다.
안 후보는 김 후보와의 1대 1 토론에서 “국민 앞에 진심으로 솔직하게 사과해야 탄핵의 강을 넘고 국민의힘이 이기는 길로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후보는 “우리 당 의원들이 자기가 뽑은 대통령을 또 탄핵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때도 그랬고, 이번에도 마찬가지”라며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그런 점에서 (윤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 안 후보가 사과하시라”고 맞받았다.
두 후보는 부정선거 의혹을 두고도 의견 차를 드러냈다. 안 후보는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우리가 이겼는데, 그것도 부정선거냐”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이겼다고 해서 부정선거가 없는 것은 아니다”며 “단 한표라도 부정선거 소지가 있으면, 우려되는 문제를 제기하면 고쳐야 한다”고 답했다.
정우진 이강민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