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MBK, ‘신용등급 하락’ 사전에 인지한 증거 확보”

입력 2025-04-25 00:17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4일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MBK파트너스·홈플러스의 채권 사기 발행 의혹에 대해 “(홈플러스 대주주) MBK가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한 점과 상당 기간 전부터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한 점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24일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금융 당국은 지난 21일 두 회사의 경영진을 증권선물위원회 위원장 긴급조치(패스트트랙)를 통해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통보했다. MBK와 홈플러스는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이 하락할 것을 알고 회생 절차를 계획했으나, 이를 숨기고 채권 등을 발행해 투자자에 피해를 입혔다는 것이 금융 당국의 판단이다. 이 원장은 “최소한 다음 달 말까지는 홈플러스 사태 태스크포스(TF)를 유지해 검찰 수사에 협조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원장은 MBK의 대응에 대해서도 일침을 가했다. 그는 “MBK가 상거래채권을 정상 변제하겠다고 수차례 발표했으나 변제가 지연되고 있고, 지난 3월부터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은 채 임대료 지급을 요구하고 있다”며 “그러면서 추가 출자 또는 주주우선 책임원칙에 따른 주식 소각 등 실패 책임에 대한 자구책에 대해선 일언반구도 없다”고 꼬집었다.

이어 “MBK는 금융 당국에는 다수 거래 업체들이 유지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도와달라고 요청하는데, 회생 절차는 회생 절차대로 밟고 있다”고 비판했다. MBK가 ‘이익은 사유화하고 손실은 공유’하기 위해 모순된 처사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MBK는 “지난 2월 25일 한국기업평가로부터 신용등급 하락 예정 사실을 최초 통지받은 뒤 28일 오후 회생 신청 서류 작업을 위한 실무에 착수했다”며 “2023년 대형유통사에 회생 절차가 적합한지 일회성 자문을 구한 적이 있으나 자문 내용의 현실성이 부족해서 중단됐다”고 해명했다.

한편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지난 23일 삼부토건의 전·현 오너, 대표이사 등을 검찰 고발한 데 대해서는 “특정 인물의 연루 의혹으로 관심이 높지만, 금융 당국 조사 단계에서는 부정거래 연관성을 확인해 고발할 만한 내용이 없었다”며 “의혹이 제기된 인물들의 자금 추적 자료, 삼부토건 관계사 웰바이오텍의 전환사채(CB) 취득·전환 자료 등 관련 자료 일체를 검찰로 인계했다”고 설명했다.

이 사건의 핵심인물로 의혹을 받았던 김건희 여사와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필요한 인물에 대해 자금 분석과 다양한 재무적 분석을 수행했다”고 답했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