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민주주의·인권 조직 축소… 다양성 사무국 폐지 등 대대적 개편

입력 2025-04-23 18:58 수정 2025-04-24 00:13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외교를 이끄는 국무부가 22일(현지시간) 대대적인 조직 개편안을 발표했다.

마코 루비오(사진) 국무장관이 발표한 이번 개편안은 인권 프로그램과 민주주의 증진을 위한 조직을 대폭 축소하거나 통폐합하는 것이 핵심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개편안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개편안에 따르면 국무부는 앞으로 전 세계적으로 100개 이상 부서를 폐쇄하거나 통합할 예정이다. 국무부 본부의 부서·사무소는 기존 734개에서 602개로 줄어든다. 미국 내 국무부 직원을 15% 감축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루비오 장관은 엑스에서 “지금 형태의 국무부는 비대하고 관료주의적이며 강대국이 경쟁하는 새 시대에 필수적인 외교 임무를 수행할 수 없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 외교 정책을 수행하기 위해서 우리는 반드시 국무부를 다시 위대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편안의 핵심은 국무부의 민간안보·민주주의·인권 담당 차관 직책을 폐지하는 점이다. 국무부는 총 6명의 차관을 두고 있었지만 개편안에선 해당 차관을 없애고 대외원조·인도주의 업무 담당 조정관을 신설한다. 또 국제형사사법 담당 사무국과 분쟁·안정화 사무국, 글로벌 여성 현안과 다양성·포용성 업무를 담당했던 사무국도 폐지된다. 국무부 개편안은 7월 1일까지 시행될 예정이다.

태미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은 “이번 개편이 당장 즉각적인 해고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면서 “전면적인 변화가 우리의 유능한 외교관들에게 힘을 실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개편안에는 미국 내 국무부 조직에 관한 내용만 포함됐으며 해외 대사관과 영사관 조직 감축은 향후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은 세계 무대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상원 외교위원회 소속 진 섀힌 의원은 “국무부와 국제개발처(USAID)의 모든 변화는 미국의 안보와 리더십에 대한 실제 비용과 신중하게 비교해야 한다”며 “미국이 후퇴하면 중국과 러시아가 그 공백을 메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