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간 통상 협상이 원만히 타결돼도 미·중 관세전쟁이 지금처럼 계속될 경우 올해 한국 성장률이 0.5% 포인트 낮아질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김진욱 씨티 이코노미스트는 23일 ‘한·미 통상 협상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에서 “미·중 갈등이 계속된다면 한·미 간 통상 협상이 성공적으로 끝나더라도 관세가 성장률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완화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세 가지 무역 협상 시나리오를 상정했다. 시나리오1은 미국이 한국에 10% 상호관세를 부과하고 미·중 간 100% 넘는 상호관세가 유지될 경우, 시나리오2는 미국이 한국에 25% 상호관세, 중국과는 100% 넘는 상호관세를 유지하는 경우다. 시나리오3은 미국이 한국에 10% 상호관세, 중국에 60% 상호관세를 부과(보복관세 없음)했을 때를 전제했다.
보고서는 시나리오1·2의 경우 올해 한국 성장률이 0.5% 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내년 성장률은 각각 2.2% 포인트, 2.3%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한·미 간 통상 협상으로 상호관세가 낮아지더라도 한국의 대미 수출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자동차·부품이 25%의 품목관세 적용을 받기 때문에 실효관세 하락은 6.7% 포인트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미·중 갈등이 완화하는 시나리오3에서는 성장률 타격이 다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올해 0.2% 포인트, 내년 0.9% 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추산했다.
씨티는 성장률 하향 정도에 따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경로도 바뀔 것으로 전망했다. 시나리오1·2에서는 내년 말 최종 금리 수준을 연 1.00%로, 시나리오3에선 연 2.00%로 예상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