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항공정비(MRO), 도심항공교통(UAM), 드론, 우주·방산 등 미래 항공산업의 선도적 혁신과 선제적 대응을 위해 ‘항공산업 육성 기본계획(2025∼2029)’을 수립했다고 23일 밝혔다.
기본계획에는 인천국제공항 경제권 활성화, MRO 산업 생태계 구축, UAM 상용화 촉진, 드론산업 실증클러스터 조성, 우주·방산산업 성장 기반 구축 등 5대 전략과 18개 실행 과제를 담았다.
시는 기본계획에 따라 인천공항과 주변 산업단지를 연계한 ‘공항경제권 기반 항공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항공산업 기획, MRO, 운항·비행, 산업 및 건설 지원까지 성장과 육성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항공산업 생태계를 체계적으로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공항경제권 활성화를 위한 특별법 제정 지원을 비롯해 인천공항공사와의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한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 공항과 주변 개발 협조를 통한 상생협력 등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MRO 분야에서는 정비단지 활성화와 민간 정비업체 유치 및 교육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정비 수요의 국외 유출을 막고 국내 관련 산업의 자립화를 촉진한다. UAM 분야에서는 실증노선 기반 구축과 제도 정비를 병행하고 통합 관리시스템을 통한 ‘인천형 도심항공교통 생태계’를 조성, 향후 인천이 도심 교통 혁신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세계 10위권인 우리나라 항공 물류산업 수준에 맞춰 ‘항공산업 진출 및 사업 다각화 지원 모델 연구’ 등을 진행해 인천 제조업의 항공산업 전환 시범사업을 지원하는 등 일자리 창출의 가교역할을 할 예정이다.
드론 분야와 관련해서는 섬 지역 배송, 해양쓰레기 관리 등을 위한 실증기반을 구축한다. 우주 분야에서는 민간기업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방산 분야에서는 국방벤처센터을 위한 설립 타당성 조사와 국방산업 생태계 기반 확대 가능성 검토 등을 진행한다.
황효진 인천시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은 “UAM과 드론, 우주산업 등을 모두 아우르는 이번 계획을 통해 인천의 고용 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이루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