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이 생존을 위한 활로를 찾는 데 골몰하고 있다. 인구가 줄고 지역 경제는 침체하고 있어 기존의 방식으로는 미래가 어둡다는 판단에서다. 영업 구역이 제한된 한계를 극복하고 디지털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다. 지방은행들은 인터넷전문은행과의 협업을 통해 살길을 모색하고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달 정례회의에서 카카오뱅크와 전북은행의 ‘공동대출’ 서비스를 혁신 금융 서비스로 신규 지정했다. 공동대출은 두 은행이 함께 신용평가를 하고 대출을 일정 비율로 분담해 취급하는 서비스다. 고객이 카카오뱅크 앱에서 대출을 신청하면 두 은행이 각각 대출 심사를 한 뒤 함께 대출 한도와 금리를 결정한다. 대출에서 나오는 이자 수익 역시 두 은행이 나눠 갖는다.
지방은행에게 인터넷은행과의 공동대출 서비스는 인지도와 고객 접근성을 높일 기회다. 토스뱅크가 지난해 8월 광주은행과 협업을 통해 처음 내놓은 서비스다.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인터넷은행으로서는 더욱 다양한 상품을 소비자에게 선보일 수 있고, 지방은행은 영업적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며 “공동대출 상품이 흥행하며 여러 지방은행에서 협업 문의가 들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BNK부산은행은 한국소호은행(KCD뱅크)의 제4인터넷은행 컨소시엄에 합류하며 인터넷은행 지분 확보에 나섰다. 지방은행이 인터넷은행에 출자한 것은 처음이다. 부산은행이 지역을 벗어난 전국 영업을 위한 발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다. iM뱅크(옛 DGB대구은행)는 디지털 전환을 전사 목표로 삼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지방은행의 강점을 살려 금융 본연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시장 환경이 변화하며 지방은행의 입지가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지역 주민과 기업에 자금을 공급하는 지방은행의 역할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하나금융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지방은행이 강한 관계형 금융을 더 강화하고 관련 인력 육성을 확대해야 한다”며 “지역별 주요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특화 신용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지방은행을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도 필요하다는 게 지방은행들의 생각이다. 김성주 BNK경영연구원 부장은 “금융산업의 부가가치가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다”며 “신용보증제도 강화와 보조금, 세제 혜택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