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방문한 LG유플러스 대전 R&D센터의 ‘홈 무선 환경 시험실’은 전형적인 25평 아파트 내부 모습과 유사했다. 방 셋에 화장실 하나로 구성된 이 시험실은 LG유플러스가 24시간 내내 제품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수십만번의 테스트를 진행하는 곳이다. 벽의 콘크리트 재질까지 완벽히 재현할 정도로 세부적인 사항을 놓치지 않았다. LG유플러스가 이런 시험실을 마련한 이유는 모든 제품을 실제 고객이 사용하는 시나리오에 맞추기 위해서다.
지난달 LG유플러스가 출시한 와이파이7 공유기도 이곳에서 수없이 많은 시험을 거쳐 탄생했다. 해당 공유기는 국내 최초로 6GHz 대역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와이파이6 공유기 대비 최대 4배 빠르다. 이런 스펙을 갖추기까지 홈 무선 환경 시험실에서 네트워크 연결성과 데이터 전송 속도 등 다양한 테스트를 모두 통과했다.
거실과 방으로 꾸며진 시험실 곳곳에는 와이파이 공유기와 셋톱박스, 사물인터넷(lOT) 기기 등 총 78개 단말기가 작동하고 있었다. 모든 기기는 속도나 통신 거리 등 기본 성능을 포함해 다양한 기기와의 연동성, 성능 안정성 등 종합적인 테스트를 거친다.
홈 무선 환경 시험실 옆에는 TV 모니터와 IPTV 셋톱박스로 가득 찬 ‘단말 SW 시나리오 시험실’이 있다. 이 시험실에서는 최신 셋톱박스인 UHD4를 비롯해 UHD3, 사운드바블랙 등 10여종의 셋톱박스 총 411대를 활용해 테스트를 진행한다. 특히 IPTV 셋톱박스는 사용자마다 이용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을 반영한 시험이 이뤄지고 있다. 장시간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발열과 속도 저하 등의 문제점도 이곳에서 분석한 뒤 개선안을 마련하고 있다.
R&D센터 내 마지막 시험실은 서비스의 핵심 기반인 네트워크 품질을 높이기 위한 ‘NW 연동 시험실’이다. 이곳에서는 U+tv 셋톱박스, WiFi 공유기, 유선 네트워크 장비 등을 활용해 다양한 단말과 네트워크 장비 간 상호 작용을 테스트한다. 여기에선 고객이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장애를 분석하고 차단하는 시험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NW 장비에 구성된 여러 대의 기기가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할 때 속도가 느려지지는 않는지, 다른 고객에게 간섭 등 영향을 주지 않는지 등을 점검한다. 강봉수 LG유플러스 품질혁신센터장은 “고객이 겪을 수 있는 불편을 이곳 시험실에서 사전에 차단하는 방식으로 품질 혁신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