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땅꺼짐 예방 TF’ 구성… 위험요소 사전점검

입력 2025-04-21 00:52

전국에서 땅꺼짐(싱크홀)으로 인한 대형사고가 잇따르자 대구시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지역 기관들과 함께 위험요소를 점검하고 장기적인 안전대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대구시는 시민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땅꺼짐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점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고 20일 밝혔다.

대구 땅거짐TF는 집중호우 등 우수기를 대비하기 위해 최근 구·군, 산하기관들과 함께 대책을 논의했다. 또 선제적으로 주요 현장을 나가 안전점검을 벌였다. TF는 안전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구·군, 산하기관들과 함께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땅꺼짐 사전 예방을 위해 시 도로과, 수질개선과, 철도시설과, 도시건설본부 등 주요 지하시설물 담당 부서와 기관이 관리하고 있는 지하시설물 현황과 점검계획을 다른 기관들과 공유할 계획이다.

이달 말까지 관련 기관, 전문가들과 함께 상·하수관, 대형 공사장, 대구도시철도 1·2호선 구간 등에 대한 중장기 관리 개선 대책을 수립할 방침이다. 통합 관리 방안과 상시 점검 시스템, 안전기준 등을 개선하기 위해 관련 기관들과의 협력도 점진적으로 강화한다.

환경부 자료 등에 따르면 대구의 하수도 배관 노후화율(2022년 기준)은 70%가 넘는다. 전국 최고 수준의 노후화율 때문에 노후 하수관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시는 각 기관이 5년마다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CCTV 점검 등 정밀 안전점검을 전 구간에 대해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점검 결과 현재까지 특이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만약의 사태를 대비해 모든 부분을 다시 꼼꼼하게 점검하기로 했다. 특히 올해 5~9월 GPR 탐사가 예정된 500㎜ 이상 하수도 1343㎞ 구간을 자세하게 살펴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신속하게 찾아낼 계획이다.

박희준 대구시 재난안전실장은 “관련 기관들과 협력해 선제적 점검과 철저한 대응으로 위험 발생을 최소화할 것”이라며 “시민 불안 해소를 위해서 시의 모든 역량을 동원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