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다음 주 미국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통상 현안을 주제로 면담한다.
기재부는 미 재무부가 오는 22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에 참석하는 최 부총리의 방미 일정에 맞춰 ‘관세 협의’를 제안했다고 16일 밝혔다. 재무·통상 당국은 이날 새벽 ‘통상 현안 관련 회의’를 요청하는 내용의 미 재무부 메일을 받고 회의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구체적인 (회의) 참석자 및 일정 등을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2기 관세 조정 협상을 총괄하는 키맨이다. 미국이 협상 최우선국으로 지정한 5개 우방국(한국·일본·영국·호주·인도) 중 일본 측과 워싱턴 DC에서 만나 첫 번째 협상에 돌입한다.
최 부총리와 베선트 장관의 면담에서도 ‘상호관세’ 논의가 주요 의제로 오를 전망이다. 지난 9일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 이후 미국 측이 장관급 접촉을 공식적으로 타진한 만큼 본격적인 관세 협상으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앞서 통상 수장인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다음 주 중 미국을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과 만나는 방안을 조율해 왔다. 양국 간의 사전 협의에 따라 한·미 재무·통상 당국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2+2’ 협상 가능성도 거론된다. 정부 관계자는 “협의 형태나 방식 등은 협의 중인 사안으로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했다.
정부는 미국이 제시한 25%의 상호관세율 및 자동차·철강·반도체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율 조정을 목표로 무역 균형·비관세 장벽 해소 등의 내용을 담은 ‘패키지’ 제안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산 천연가스(LNG)·원유 등의 수입을 늘리고 자동차·반도체 등 주요 대미 수출품의 미국 생산 현황, 한·미 조선 협력 방향 등을 설명할 방침이다.
다만 정부는 대미 협상 밑바탕을 다지고, 최종 의사결정은 6월 3일 대선 이후 출범할 차기 정부에서 확정할 전망이다. 최 부총리는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탄핵소추 조사 청문회에서 “미국과의 협상은 절대 서두르지 않는다. 최종 결정은 새 정부에서 하면 된다”며 “그쪽(미국)에서 요청하는 부분에 대해 국익 차원에서 준비하면 되는 것”이라고 했다.
세종=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