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유예’ 직전 주식 산 트럼프 충성파 의원

입력 2025-04-16 18:59
마저리 테일러 그린 미국 공화당 하원의원이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공화당 전국위원회 본부 앞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조치를 발표하기 직전 공화당 소속 마저리 테일러 그린 하원의원이 최대 수십만 달러 규모의 주식을 매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호관세 부과 당시 폭락한 미국 주식시장은 유예 조치 발표 직후 급등했다. 그린 의원이 대표적인 트럼프 충성파 의원으로 분류되는 만큼 민주당은 내부자 거래 가능성을 의심하며 공세에 나섰다.

15일(현지시간) USA투데이 등에 따르면 그린 의원은 지난 8~9일 1001달러에서 1만5000달러 범위에서 21건의 주식 거래를 했다. 애플, 팔란티어, 엔비디아, 아마존, 룰루레몬 등을 매입했다. 양일간 매수 규모는 2만1000달러에서 31 만5000달러 규모다.

문제는 해당 기간 미국 주가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및 유예로 급격하게 변했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나스닥종합지수는 8일에 1만5267.91로, 트럼프가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내놓은 2일(1만7601.05)과 비교하면 13% 이상 폭락한 상태였다.

하지만 9일 트럼프가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하자 나스닥은 하루 만에 12% 이상 급등했다. 이후 증시는 횡보 중이지만 그린 의원이 산 주식 대부분은 매입 시점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주 민주당 일부 의원은 폴 앳킨스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에게 서한을 보내 트럼프 측 인사들의 증권법 위반 여부에 대한 조사를 촉구했다. 러티샤 제임스 뉴욕주 검찰총장은 관세 유예 조치와 관련해 최근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과 주변인들의 내부자 거래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고 CNN이 보도했다.

김이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