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호선별 노선도(단일 노선도)가 1974년 1호선 개통 이후 41년 만에 표준화 된다.
서울시는 시각·색채·정보 디자인 전문가 자문과 수차례 검토를 거쳐 내외국인 모두가 읽기 쉬운 단일 노선도 표준 디자인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신형 단일 노선도는 색각 이상자도 쉽게 구분 가능한 색상 체계와 함께, 환승 라인을 신호등 방식으로 표기했다. 외국인의 이용을 돕기 위해 역번호를 표기하는 등 전체적으로 정보를 쉽게 전달하는 것이 핵심이다. 여기에 서울과 타 지방자치단체의 경계, 한강 위치와 분기점 등 서울의 중요한 지리적 정보를 반영해 이용 편의도 높였다는 평가다.
현재 단일 노선도는 중요 지리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았으며 역별 번호와 다국어 표기도 부족해 외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개선 필요성도 제기돼 왔다.
시는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지하철역에 신형 노선도를 부착할 예정이다. 노선도는 가로형, 세로형, 정방형(안전문 부착형)의 3가지 형태다.
최인규 시 디자인정책관은 “신형 노선도는 전동차, 승강장에는 물론 굿즈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될 것”이라며 “서울을 대표하는 디자인 아이콘으로서 도시 위상강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