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한반도와 동·남중국해를 하나의 전쟁구역으로 묶자는 제안을 미국 측에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일본 내에서도 설익은 구상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아사히신문은 나카타니 겐 방위상이 지난달 30일 도쿄에서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과 회담하며 “미국 일본 호주 필리핀 한국 등을 ‘원시어터’(하나의 전쟁구역)로 보고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고 15일 보도했다.
이는 일본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영향력을 강화하는 중국에 맞서 우방국 간 연대를 확대·주도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현재 일본은 동중국해, 필리핀은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영유권 갈등을 빚고 있다. 한국도 북한의 안보 위협에 더해 전쟁 발발 시 중국을 상대해야 할 가능성이 작지 않다. 따라서 관련 지역을 하나로 묶어 각국이 공동으로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중국에 대항하기 위해선 동·남중국해 등을 개별적인 전장이 아닌 하나로 보고 우호국이 일치단결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미국을 인도·태평양 지역에 묶어두려는 의도로도 해석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고립주의 성향을 감안해 일본이 안보 문제에 적극 나서 미국의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취지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 제안에 환영 의사를 밝혔다. 다만 방위성 내에서도 성급한 구상이라는 비판이 적지 않다. 아사히는 “원시어터의 명확한 지리적 범위는 정해지지 않았다. 자위대 전장을 대폭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며 “대만 유사시가 포함된다고 하면 중국의 반발은 불가피하고 긴장이 고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이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