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中 145% 관세에 美 중기 치명상

입력 2025-04-14 18:59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에 부과한 145%의 ‘관세 폭탄’으로 자국 중소기업에 치명상을 입힐 것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중국이 보복 조치로 희토류 수출을 통제하면서 규모가 큰 미국 첨단산업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CNBC방송은 13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가 미국 기업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것”이라며 “미국 기업 대부분이 중국발 화물 주문을 취소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덴마크계 공급망 자문업체 시인텔리전스의 앨런 머피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수입업체들이 중국산 가구 주문을 전면 중단했다”며 “의류와 신발, 장난감, 스포츠 장비 수입업체 상황도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미국 물류기업 세코로지스틱스의 브라이언 보크 최고운영책임자(CCO)는 “동남아시아산 수입은 상호관세 90일 유예 조치 이후 호전됐다”며 “중국발 화물 주문만 여전히 중단된 상태”라고 말했다. 뉴욕 해상운송업체 오엘유에스에이의 앨런 베어 CEO는 “중국과 관련한 거의 모든 사업이 중단됐다”고 토로했다.

일부 기업은 베트남이나 인도로 생산기지를 이전하거나 상품값을 낮춰 유럽에 판매하는 방식의 우회로를 찾고 있다. 하지만 상당수의 중소기업은 새로운 생산지나 판매처를 발굴하기 어려워 경영난 위기에 직면했다.

미국 의류·신발협회의 스티븐 라마르 CEO는 “끊임없이 뒤바뀌는 무역 정책과 높은 관세율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심각한 공급망 혼란을 일으켰다”며 “중소기업은 이런 위험을 감당할 수 없다. 특히 소기업은 대체 공급망을 확보하지 못해 주문량 감소와 실적 악화에 빠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미국의 항구·공항 하역장에는 수입업체의 운임 미납이나 통관 지연으로 방치된 화물이 증가하고 있다. CNBC는 “뉴욕에서 30일 이상 방치된 화물은 유기된 것으로 분류돼 하역장이나 창고에서 즉시 판매되거나 경매에 부쳐질 수 있다”며 “하지만 많은 화주들은 관망을 선택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빅테크와 방위산업 기업들은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희토류 수급난으로 작지 않은 피해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상무부는 지난 4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한 보복 조치로 희토류 수출을 통제했다. 중희토류는 전기차·로봇·드론에 사용되는 전기모터, 인공지능(AI) 데이터 서버와 스마트폰 반도체 칩 부품인 커패시터(축전기)의 핵심 재료다. 미사일 등 방산 기술과 우주선에도 희토류가 사용된다.

세계 희토류 공급량의 99%를 책임지고 있는 중국의 수출통제 조치는 미국은 물론 한국·일본·독일 등의 수급난을 불러올 수 있다. 뉴욕타임스는 “기업마다 희토류 비축 물량이 크게 다른 만큼 생산 중단 시기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면서도 “미국 기업 대부분은 원자재 비축 비용 부담 때문에 희토류 재고를 비축하지 않거나 거의 보유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