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후반 취업자가 약 1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청년들이 사회에 첫발을 내딛기가 한층 더 어려워진 것인데 우려스럽다. 좋은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건설업 고용 한파가 길어지는 데다 기업들의 경력직 채용 선호 현상이 뚜렷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안정적인 청년 고용 없이는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 기업과 정부가 힘을 모아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에 힘써야 할 것이다.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20대 후반(25~29세) 취업자 수는 242만명으로 1년 전보다 9만8000명이 줄었다. 2013년 3분기 이래 가장 큰 폭의 감소로, 고용 시장이 얼어붙은 코로나19 때보다 더 줄어든 것이라니 심각한 일이다. 지난달 청년층(15~29세)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사상 처음으로 50만명을 넘었다. 구직을 포기하거나 아예 시도조차 하지 않은 청년들이 빠르게 늘고 있다는 뜻이다.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기업들이 청년을 뽑지 않고 있다. 지난 2월 현재 매출액 500대 기업의 60% 이상이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다고 한다. 대기업 대규모 공채는 사라져 가고 수시 채용은 경력직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중소기업은 사람이 부족하다지만 근무환경과 처우가 개선되지 않아 청년들이 외면하고 있다. 지난해 사상 최대의 수익을 올린 금융기업들은 신입 채용 규모를 오히려 줄여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막대한 수익으로 기존 직원들의 배만 불릴 게 아니라 이를 신규 채용 형식으로 사회에 환원하는 게 바람직할 것이다.
정부는 다양한 청년 고용정책을 내놨으나 단편적인 수당 지급과 보여주기식 성과에 치중하고 있어 아쉽다. 일자리의 ‘질’이 아닌 ‘양’에 집중돼 있다 보니 단기 아르바이트, 비정규직, 저임금 일자리 위주로 공급되는 경우가 많아 실효성이 적다. 초고령 사회로 접어든 우리 사회가 지탱하기 위해서는 청년이 일자리를 찾아야 한다. 청년 고용이 안정돼야 정년 연장 논의도 사회적 공감대를 얻을 수 있다. 20대들이 취업 현장에서 좌절하지 않도록 정부와 기업이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