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치매의 기억력 저하에 관여하는 뇌 속 단백질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로 정밀한 치매 치료제 개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므리둘라 발라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이 기억력 손상을 유발하는 단백질 ‘시트루인2(SIRT2)’를 억제하면 단기 기억력 회복이 가능하다는 점을 실험으로 입증했다고 14일 밝혔다.
전체 뇌세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는 신경세포 간 신호전달을 조율하고 뇌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알츠하이머나 뇌 염증과 같은 질병 환경에서는 별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며 ‘반응성 별세포’로 변하는데, 질병 초기부터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신경 퇴행의 시작과 진행에 깊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알츠하이머 모델 생쥐의 별세포에 발현되는 유전자들을 분석해 단백질 발현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이후 별세포의 단백질을 억제하자 생쥐의 손상된 단기 기억이 정상 수준 가까이 회복됐다.
이 단장은 “이번 연구는 별세포의 대사 경로를 조절해 알츠하이머 치매의 기억력 저하를 완화하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