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한대행 체제 시작… 대구시·의회, 핵심사업 지키기 ‘안간힘’

입력 2025-04-13 20:40 수정 2025-04-13 20:45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과 간부 공무원들이 긴급현안점검회의를 하는 모습. 대구시 제공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조기 대선 출마로 대구시 행정부시장 권한대행 체제가 시작되면서 지역 핵심사업 연속성 확보가 가장 큰 관심사로 떠올랐다. 정부와 정치권의 협력이 필요한 사업들이 많아 대구시와 시의회가 사업을 이어갈 수 있는 방안을 고심 중이다.

대구시는 지역 현안사업 중 대선 후보들의 공약에 포함시킬 수 있는 사업들을 선별하기 위해 조만간 ‘21대 대선 대비 지역공약 발굴 추진상황 보고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13일 밝혔다.

조기 대선과 권한대행 체제 등의 환경 변화로 지역 핵심 현안 실현을 위한 공약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대통령이 누가 되는지에 따라 지역 사업들의 명운이 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 사업이 대선 후보들의 지역 공약에 포함되면 차기 정부 국정과제로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시의 현안사업들은 대구·경북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 대규모 사업들이지만 규모가 크다 보니 지방자치단체의 힘만으로는 추진하기 힘들다. 대구경북신공항(TK신공항), 대구경북행정통합, 대구 취수원 이전, 군부대 이전 등 핵심사업들이 민선8기 들어 시작돼 상당한 진전을 이뤘지만 아직 결실을 맺은 것은 아니다.

TK신공항 건설은 특수목적법인(SPC) 방식에서 대구시 주도 공영개발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공공자금관리기금’(공자기금) 융자 지원 여부가 중요해졌다. 정부 지원을 위한 2차 개정안 통과를 남겨두고 있다.

행정통합은 급물살을 타는 듯했지만 탄핵 정국으로 논의가 멈췄다. 차기 정권이 들어서고 다시 논의를 시작해야하는 상태다. 공약 포함 여부가 사업 지속 여부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 시는 중대성과 시급성 등을 평가해 공약에 포함시킬 사업을 정할 계획이다.

시는 공약화 이외에도 실·국장을 중심으로 업무를 철저하게 점검하는 분위기를 만들고 시의회, 유관기관 등과도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 행정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대구시의회도 지역 역점사업의 지속을 위해 행동에 나서고 있다. 이만규 대구시의회 의장과 확대의장단은 ‘TK신공항 건설 국비지원’을 촉구하기 위해 14일까지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앞에서 캠페인을 벌인다. 지난달에 진행한 1인 시위에 이은 후속 활동이다.

이 의장은 “TK신공항 건설은 국가안보와 직결된 국가 인프라 사업으로 정치적 상황에 흔들려서는 안 될 국가적 대계”라며 “정부가 현명하고 책임 있는 판단을 통해 안정적인 재정 지원을 결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