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11일 서울 한남동 관저를 나와 종전 거주지인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건물로 돌아갔다. 지난 4일 헌법재판소가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한 지 일주일 만의 퇴거다. 윤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 돌아가 나라와 국민을 위한 새로운 길을 찾겠다”는 메시지를 냈다. 헌재 결정 승복이나 국정혼란 사과, 국민통합의 메시지는 없었다.
윤 전 대통령은 오후 5시10분 한남동 관저를 나와 20분 뒤인 5시30분 서초동 사저에 도착했다. 윤 전 대통령은 경호차량이 관저 철문에 다다르자 오른손을 든 채 걸어나와 응원 집회에 나온 청년들과 포옹했다. 윤 전 대통령은 청년들이 ‘윤석열’을 연호하는 가운데 약 3분간 어깨를 두드리고 악수를 나눴다. 윤 전 대통령 측이 퇴거에 앞서 응원 집회 주최 측에 “청년들을 만나겠다”는 뜻을 전했고, 이에 집회 주최 측은 신분증을 확인해 40세 이하 200명을 따로 추려 관저 앞에 배치했다.
윤 전 대통령은 퇴거 직후 법률대리인단을 통해 “많은 국민들, 그리고 청년들께서 자유와 주권을 수호하겠다는 일념으로 밤낮없이 한남동 관저 앞을 지켜주셨다”며 “추운 날씨까지 녹였던 그 뜨거운 열의를 지금도 가슴 깊이 새기고 있다”는 입장문을 냈다. 이동 중에는 좌석 창문을 내리고 오른손을 흔들었다. 이 때문에 경호차량은 속도를 낮춰 이동해야 했다. 사저에 도착해서도 내부 주차장으로 바로 들어가는 대신 김 여사와 함께 입구에서 내려 지지자들과 인사를 나눴다.
한남동 관저, 서초동 사저 인근은 윤 전 대통령 응원과 규탄 집회로 혼잡했다. 자유대한국민연대는 윤 전 대통령의 대선 재출마를 주장하는 ‘YOON AGAIN(윤 어게인)’ 손팻말을 든 채 “탄핵 무효”를 외쳤다. 반면 촛불승리전환행동(촛불행동)은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과 김건희를 즉각 체포하고 구속하는 것이 사회 정의를 바로 세우는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 부부가 돌아온 아크로비스타 건물 1층에는 검색대가 설치됐다. 현관 외벽에는 ‘입주자 동대표 일동’ 명의로 “대통령 내외분 수고하셨습니다”라는 현수막이 붙었으나 일부 주민이 “개인 명의로 붙이라”고 항의했다.
윤 전 대통령이 사저 안으로 들어간 이후 “왜 사유지에 함부로 들어오냐”는 입주민과 “대통령님 보겠다는데 당신이 왜 소리지르냐”는 지지자 사이에 고성도 오갔다. 이사는 오후 8시쯤 마무리됐다.
승복과 화합의 메시지는 나오지 않았다. 오히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관저를 찾은 이들에게 “비상조치 이후 미래세대가 엄중한 상황을 깨닫고, 자유와 주권의 소중함을 인식했다”고 말해 여전히 계엄을 정당화했다. 윤 전 대통령은 헌재의 직무복귀 결정을 확신했고 전원일치 파면이 선고되자 “둔기로 얻어맞은 느낌”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법조계는 윤 전 대통령이 내란우두머리 혐의로 형사재판도 받는 만큼, ‘국회 훼손’을 인정한 헌재에 승복한다는 메시지를 애초 낼 수 없었다고 본다.
이경원 한웅희 이서현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