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反李만으론 충분치 않다… 유권자 설득할 킬러 공약 필수”

입력 2025-04-11 02:12

출사표를 던진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이 예외 없이 ‘반(反)이재명’ 기치를 드는 상황을 두고 ‘킬러 공약’ 제시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선은 다가올 미래를 맡길 지도자를 선택하는 정책선거 성격이 짙은 만큼 ‘네거티브’ 공세만으로는 다수 유권자의 표심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10일 통화에서 “민주당은 지난 3년 동안 이재명 1인을 위한 선거운동을 하면서 당의 모든 자원을 집중해 왔다”며 “그에 비해 지금 우리 당 대선 주자들이 ‘반이재명’ 일변도로만 가는 상황에 대해선 우려되는 지점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대로 가면 ‘이·조(이재명·조국) 심판론’만 거듭하다 참패한 22대 총선을 되풀이할 수 있다”며 “핵심은 미래 비전 제시이고, 지도부 역시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당 일각에서는 지난해 4월 10일 치러진 22대 총선 결과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총선 백서는 “힘 있는 여당의 이점을 살린 공약 부재로 ‘이·조 심판론’과 같은 다른 정치적 이슈가 중심이 되는 등 ‘공약 없는 선거’로 진행된 것은 굉장히 뼈아픈 실책”이라며 “오히려 선거를 정권 심판론에 가두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평가했었다.

최수영 평론가는 “반명만 외치는 것으론 불충분하고 핵심은 다음 스텝에 있다”며 “‘계엄 정당’이 아닌 ‘미래 정당’임을 입증하는 게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경제·외교 복합 위기 속에서 민주당보다 뭘 더 잘할 수 있다는 건지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대선 슬로건을 ‘경제는 국민의힘’으로 정하고, 지난 9일부터 대선공약기획단을 가동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민주당식의 정쟁과 비방 정치를 지양하고, 오직 대한민국 경제 재도약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각 주자들도 저마다의 특색을 살린 공약 발표를 준비 중이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청년’, 오세훈 서울시장은 ‘약자 동행’ ‘성장’에 방점을 찍은 정책을 곧 선보일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구자창 이강민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