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비어 브런슨(사진)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사령관이 한국을 인도·태평양의 핵심 지역으로 지목하며 한·미동맹의 전략적 가치를 강조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9일(현지시간) 미 하원 군사위원회가 개최한 ‘인도·태평양 지역의 미군 태세와 국가안보 도전’ 청문회에서 ‘미군의 한반도 주둔으로 얻는 이익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우리가 현재 입지적 우위를 가졌다고 본다”고 답했다. 주한미군의 역량에 대해서는 “그것이 있어야 할 곳에 있다는 것”이라며 미군의 한반도 주둔만으로도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전략적 입지로서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의원들에게 제출한 성명에서 “미국의 국익에 여전히 중요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이(한반도) 주둔은 핵심적”이라며 “(주한미군은)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에서 강력한 억지력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또 미군이 한국군과 일본 자위대, 유엔군사령부를 구성하는 국가들의 파견군과 함께 지역방위태세를 구축했다고 덧붙였다.
미 국방부 고위 당국자들과 미군 지휘부는 한·미 협력 강화를 언급하면서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동맹국들의 안보 부담을 더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계인 존 노 미 국방부 인도·태평양 안보담당 차관보 직무대행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억지력을 재확립하기 위해 국방부는 무력태세를 전역으로 강화하고 동맹과 파트너에 힘을 실으면서 모든 위협을 다루기 위한 부담 공유를 확대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뮤얼 파파로 미군 인도·태평양사령관은 “중국이 인공지능(AI)과 초음속미사일, 우주 기반 역량 등 첨단기술을 놀라운 속도로 개발하고 있다”며 한국과의 AI·조선·방위산업 협력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대외 무기 판매에서 한국은 5위 구매국”이라고 소개했다.
파파로 사령관은 북한이 러시아에 파병해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여한 사실을 언급하며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우주발사체와 군사위성, 공격형 드론, 미사일 및 첨단 잠수함 추진 기술을 획득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