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가 2030년 글로벌 시장에서 419만대를 판매하고, 시장점유율 4.5%를 달성하겠다는 중장기 목표를 제시했다. 목적 기반 차량(PBV), 픽업트럭, 친환경차를 내세워 시장 내 경쟁력을 확보하고 성장을 이어나간다는 방침이다.
기아는 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2025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플랜S 2030’을 공개했다. 기아는 올해 글로벌 시장 판매 목표를 322만대로 설정하고 2030년 중장기 목표도 함께 발표했다.
2030년 목표는 중국 시장 부진을 고려해 지난해 인베스터데이에서 발표한 430만대 대비 11만대 낮춰 잡은 규모다.
기아는 2030년 북미에서 111만대, 유럽에서 77만대를 각각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공개했다. 국내에서는 58만대, 인도에서는 40만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별 맞춤형 전략을 펼치기로 했다. 미국에선 전기차·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 현지 생산을 강화한다. 전기차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유럽에선 신규 차량을 출시하기로 했다. 국내 시장에선 PBV, 픽업 등 신규 시장을 확대해 점유율을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기아는 친환경차 판매를 올해 89만7000대에서 2030년 233만3000대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판매 비중으로 보면 28%에서 56%로 두 배 늘어나는 셈이다. 전기차는 125만9000대를, 하이브리드·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는 107만4000대를 판매할 계획이다. 2030년 주요 시장별 친환경차 판매 비중은 북미 70%, 유럽 86%, 국내 73%, 인도 43%다.
기아는 올해 말 기준 내연기관(하이브리드차 포함) 23종, 전기차 9종인 차량라인업을 2030년 기준 내연기관 17종, 전기차 15종 등으로 재편한다. 전기차는 EV3, EV4, EV5에 이어 내년 EV2를 출시해 대중화 모델 라인업도 확대한다.
PBV 등 신차종도 투입한다. 오는 7월 처음 출시하는 PV5를 시작으로 2027년 PV7, 2029년 PV9 등을 출시하기로 했다. PBV 판매 목표는 2030년 유럽 13만3000대 등 글로벌 25만대다. 최근 출시한 픽업트럭 타스만은 호주를 포함해 신흥 시장에 진출하고, 북미 시장에선 전동화 픽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앞으로도 내실을 강화하고 자동차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장기 전략을 실행함으로써 브랜드의 발전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