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앙주변공작회의에서 “주변국 운명 공동체 구축에 집중하고 주변국 업무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8~9일 베이징에서 열린 이 회의는 주변국과의 외교 문제를 다루는 최고위급 회의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폭탄’을 퍼부어 미국의 동맹국들 사이에서도 불만이 터져 나오는 가운데 열렸다. 이 틈새를 노린 중국의 우군 확보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9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을 비롯한 핵심 지도부는 회의에서 주변국 운명 공동체 구축을 위해 주변국들과 전략적 상호 신뢰를 강화하고 갈등과 차이를 적절히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도부는 현재 중국과 주변국 관계가 근대 이후 가장 좋은 시기에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의 주변국에는 한국과 일본, 필리핀 등 미국의 동맹국도 포함된다. 중국이 주변국 외교 강화에 나설 뜻을 밝힌 것은 한·중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중국이 트럼프 행정부의 104% 관세 부과에 정면으로 맞서고 있는 가운데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공산당이 통제하고 미국식 선거가 없는 중국의 정치 체제가 트럼프와의 무역전쟁에서 중국에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주펑 난징대 국제관계학원 원장은 “무역전쟁으로 대미 수출이 급감하면 중국 경제가 치명적인 영향을 받고 국민의 생계와 사회적 안정을 훼손할 것”이라면서도 “중국의 국가주도 체제가 무역전쟁이 경제·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처하는 거시적 예방·조정·전환에 더 많은 여지를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스인훙 교수는 “경기 침체와 높은 실업률로 중국의 내부 단결이 그다지 견고하지 않지만 미국처럼 대규모 시위가 일어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중국 남방일보는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전쟁이 3~5개월간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며 “수출을 내수로 돌리는 등 중국은 대응할 여지가 많다. 장기적 관점을 견지하면 승리의 서광이 비칠 것”이라고 전했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