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이 ‘리밸런싱’의 일환으로 알짜 계열사인 반도체 웨이퍼 제조사 SK실트론의 경영권 매각을 검토 중이다. SK실트론은 반도체의 핵심 기초 소재를 생산하는 국내 유일 웨이퍼 전문 기업이다. SK실트론은 12인치 웨이퍼 기준 세계 시장 점유율 3위다.
8일 업계에 따르면 SK그룹의 지주사 SK㈜는 최근 매수 의사를 밝힌 사모펀드들과 SK실트론 경영권 매각을 논의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진행된 그룹 차원의 사업 구조 재편 차원에서다. SK㈜가 직접 보유한 지분 51%와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으로 묶인 19.6%를 합친 SK실트론 지분 70.6%가 매각 대상이다.
SK그룹은 지난 2017년 LG그룹에 속해 있던 LG실트론을 넘겨받았다. SK그룹은 당시 LG그룹이 갖고 있던 LG실트론 지분 51%를 6200억원에 인수했다. 이어 잔여 지분 49% 가운데 사모펀드 ‘KTB PE’가 보유한 19.6%를 TRS 계약으로 추가 확보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개인 역시 우리은행 등 보고펀드 채권단 보유 지분 29.4%를 이 같은 방식으로 손에 넣었다. 다만 최 회장 개인 지분은 이번 매각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전해진다. 시장은 SK실트론의 몸값을 5조원 안팎으로 추산한다. 이에 따라 이번 매각이 성사되면 SK㈜는 약 3조원의 현금을 확보할 전망이다.
매각설에 대해 SK㈜ 관계자는 “그룹 리밸런싱 차원에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고 SK실트론 매각도 선택지 가운데 하나”라면서도 “아직 구체적으로 확정된 건 없다”고 말했다. SK그룹은 지난해 초부터 사업 전반에 걸쳐 비주력 사업을 정리하는 등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하는 고강도 리밸런싱에 착수했다. 배터리, 석유화학 등 계열사가 업황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산발적으로 단행한 과도한 투자가 비효율적이고 재무 부담을 일으킨다는 판단에서다.
지주사 SK㈜는 보유 자산 효율화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선 곳 중 하나다. 자회사의 성과와 재무 구조가 지주사의 몸값으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SK㈜가 보유한 지분의 가치 가운데 약 80%가 자회사 지분이다. SK㈜는 지난해 12월 특수가스를 생산하는 100% 자회사 SK스페셜티 지분 85%를 사모펀드 한앤컴퍼니에 매각하기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매각 지분 가치는 약 2조7000억원 규모였다. SK㈜는 SK스페셜티 지분을 팔아 손에 쥔 자금을 재무 건전성 제고, 그룹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한 투자 재원 등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황민혁 기자 okjs@kmib.co.kr